▶ 자율로 신에게서 벗어난 인간 오히려 허무·우울의 시대 불러 매순간의 다양한 감성 통해 삶 의미 성스럽게 가다듬어야
▶ 모든 것은 빛난다 휴버트 드레이퍼스ㆍ숀 켈리 지음
허먼 멜빌의 ‘모비 딕(白鯨ㆍ흰고래)’은 19세기 상상력에 정점을 찍은 가장 위대한 미국 소설 중 하나로 평가 받고 있다. 거대하고 흉포하지만, 섬세하고 정교한 이 작품의 매력은 수세대의 걸친 세계의 독자들을 사로잡고 혼란에 빠뜨리고, 심지어 좌절시키기까지 했다신간 ‘모든 것은 빛난다’의 저자인 세계 철학계의 거장인 휴버트 드레이퍼스 캘리포니아대 교수와 숀 켈리 하버드대 교수는 ‘모비 딕’을 개인과 신이 벌이는 장엄한 투쟁으로 해석한다. 흰 고래는 무한대의 힘을 감추고 있지만 얼굴은 전혀 보여주지 않는, 아브라함의 하느님과 같은 존재다. 반면 에이해브 선장은 자신의 다리(자신의 실존)를 물어뜯은 존재를 정복함으로써 자신을 완성시키려는 인물이다. 영웅적인 개인과 기독교적 유일신의 싸움은 기독교를 상징하는 배와 선장이 함께 침몰함으로써 파국을 맞는다.
저자들은 ‘모비 딕’의 또 다른 주인공 이슈메일에 주목한다. 그는 이 모든 상황을 지켜보면서 언제든지 자신의 입장을 변화무쌍하게 바꿀 수 있는 위치에 있다. 이슈메일은 유일신의 문화에 오염되지 않은 다양한 문화적 가능성을 받아들일 수 있는 감성의 소유자로서 현대 사회에서 사라져 가는 존재라는 게 저자들의 판단이다.
저자들은 현대인이 놓여 있는 실존적 상황, 즉 지극히 허무하면서도 우울한 시대적 병증은 ‘자율적 존재로서의 인간’이라는 그릇된 신념이 가져온 결과라고 주장한다.
저자들은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론’, 단테의 ‘신곡’, 허먼 멜빌의 ‘모비 딕’에 이르기까지 빛나는 서양 고전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읽어 내려간다. 고대에는 개인 각자가 성스럽고 빛났던 삶이 어떻게 이렇듯 창백하고 우울한 피로 사회로 떨어져 버렸는지 찬찬히 들여다 본다. 그리고 현대 사회 허무주의의 주범은 다양한 의미의 생산지를 하나의 원천으로만 응집시키려 한 서양 사상이라고 지목한다.
그런 점에서 유일신의 문화에 오염되지 않은 채 고대의 ‘다신적(多神的)’ 사고를 갖고 있는 ‘모비 딕’의 이슈메일은 우리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는 존재다. 결국 저자들은 다신(多神)에 열려있는 태도로 의미를 발견하며 사는 삶을 얘기한다.
“우리가 겪고 있는 허무와 우울의 시대적 병증은 결국 고대와 중세보다도 못한 역사의 퇴보로 몰아가고 있다”고 주장하는 저자는 “광포한 감정의 선동이나 차디찬 이성의 명령 어느 한편에도 치우치지 않고 균형을 지키는 기술을 연마함으로써 진정 빛나는 삶을 살 수 있다”고 조언한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