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주요 항공사들이 지난 2년 동안 각종 수수료를 통해 벌어들인 수입이 2배 늘어난 가운데<본보 2일자 경제 2면 보도> 항공 관련 각종 수수료가 줄줄이 인상되고 있다. 항공사들이 고유가와 만성적인 경영난으로 예전에는 무료였던 각종 서비스에 온갖 형태의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는 것. 이러다간 국제선을 타면서도 삶은 달걀이나 구운 오징어를 준비해야 하는 시대가 올 지도는 모른다는 자조 섞인 전망도 나온다.
무거운 짐은 페덱스 이용해 비용 절약
특정 항공사 크레딧카드 다양한 베니핏
▲수화물
항공 관련 수수료 가운데 가장 피부에 와 닿는 게 수화물 수수료다. 유가가 최고가를 기록한 2008년 이후 유류비 절감을 위해 대부분의
항공사들은 첫 수화물에 대해 최저 25달러의 기본요금을 책정하고 있다.
국내선의 경우 대개 첫번째 체크인 수화물에 25달러, 두번째 수화물에 대해서는 35달러의 수수료를 부과한다. 무게(50파운드)나 길이와 너비 및 높이의 합이 62인치가 넘을 경우 추가 요금이 적용된다.
합병된 ‘유나이티드 콘티넨탈’(United Continental)과 델타항공은 올 여름부터 미국-유럽 노선의 두번째 수화물에 대한 수수료를 현행 50달러에서 60~75달러로 인상했다.
수수료를 피하기 위해 꽤 큰 가방도 기내에 들고 타는 게 일상화되자 스피릿, 얼리전트 등 저가항공사들은 아예 휴대 가방에도 20~30달러의 요금을 물리고 있다.
▲기내식과 스낵
기내식과 스낵이 유료화 되면 탑승 입구에 설치된 자판기에서 샌드위치를 뽑아 타는 모습도 더 이상 어색하지 않게 됐다. 프런티어, 버진아메리카 등은 음료에 2~6달러의 돈을 받고 있으며 US에어웨이는 물을 2달러에 판매하고 있다. 맥주나 알콜음료에 대해선 거의 모든 항공사가 돈을 받는다.
▲담요·헤드폰과 명절수수료(?)
제트블루는 담요, 베개 사용료로 7달러를 받는다. 대부분 항공사들은 헤드폰 사용료를 부과하고 있어 돈을 안내면 기내 영화나 오락 방송도 볼 수 없다. 항공사들은 또 추수감사절과 신년 연휴 등 손님들이 많이 몰리는 시기에는 명절 수수료 명목으로 10달러를 부과하고 있다. 예매 뒤 취소·변경 수수료로 200~300달러, 영수증 요구 시 20달러 등의 수수료를 받기도 한다.
델타항공은 기존 이코노미 좌석보다 4인치 정도 공간 여유가 있고 조금 더 뒤로 젖혀지는 ‘이코노미 컴포트’ 좌석을 국제선에 배치해 편도 80~160달러를 더 받으려 하고 있으며 유나이티드 콘티넨탈은 아예 같은 개념의 ‘이코노미 플러스’ 좌석의 연간 업그레이드 티켓을 425달러에 파는 신상품을 내놓기도 했다. US에어웨이는 똑같은 좌석이라도 앞자리, 창가 등 선호좌석에 따라 추가 요금을 물리고 있는 실정이다.
▲절약법
하지만 조금만 살펴보면 수수료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없지 않다. 수화물의 항공 수화물 처리 대신 아예 택배업체를 이용하는 것이다. 가령, 60파운드의 짐을 LA에서 뉴욕으로 보낼 경우 페덱스 홈딜리버리 요금은 67달러 정도지만 주요 항공사의 수화물로 처리하면 115달러(25달러 수화물 기본요금 및 90달러 무게 초과 요금)를 부담해야 한다.
웹사이트(airfarewatchdog.com)에서 요금을 비교할 수 있다.
호텔 프로모션을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킴튼호텔(Kimpton Hotel)의 경우 두번째 항공 수화물 요금에 대해 최대 25달러를 룸 크레딧으로 제공한다. 할러데이인과 크라운플라자 등을 소유한 인터콘티넨탈 호텔은 4,500여개 호텔에서 비자카드로 결제하는 주말 숙박고객에 한해 왕복항공 수화물 요금을 100달러까지 보상해 준다.
특정 항공사를 자주 이용하는 편이라면 콘티넨탈항공의 ‘체이스 원패스 플러스’나 델타항공의 ‘골드스카이 마일스 아메리칸 익스프레스’를 이용할 경우 첫 수화물에 대해 무료 혜택이 제공된다. 여행 가방이 여럿이라면 가족들과 가방을 나눠 탑승하는 것도 비용 절감의 한 방법이다.
주요 항공사들이 고유가와 만성적인 경영난으로 각종 서비스에 온갖 형태의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어 여행객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델타항공 국내선 기준 수수료 현황
<정대용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