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새해가 되었다. 새해라면 누구나 흥분하고 환호한다. 인류는 개인적으로나 집단적으로나 새것을 갈망하고 열망하기 때문이다. 옛 것이 더 좋다는 이들이 없는 것은 아니다. …
[2013-01-01]중국의 급부상으로 이전만 못하다고 하는 설왕설래가 있지만 그래도 미국은 세계 속의 유일무이한 초강국이다. 미국은 역사적 사건이 축적되며 발전해온 나라가 아니라 이민자들에 의…
[2012-12-31]나는 1952년생으로 박근혜 당선자와 동갑이고 같은 세대의 삶을 살다 30년 전에 미국에 왔다. 우리나라가 이만큼 잘 살 수 있게 된 것은 박정희대통령의 업적이라는 것은 아무도 …
[2012-12-31]인도의 어느 깊은 산골에는 ‘한고조’ 라는 새가 살고 있었다. 겨울이 되면 유난히도 추운 그 산에서 한고조는 밤만 되면 낮에 미리 둥지를 짓지 않았던 것을 후회한다고 한다. 내일…
[2012-12-31]미국과 중국이 전쟁에 돌입할 가능성이 있을까. 휴 화이트라고 했던가. 호주의 한 국제문제 전문가에 따르면 그 답은 ‘예스’다. “센카쿠열도(중국 명 댜오이다오)영유권을 둘러…
[2012-12-31]얼마 전 디지털 카메라에 담긴 디지털 이미지들을 인화하고, 이를 보관할 앨범 하나를 구입했다. 얼마만이지 모르겠다. 스크린이 아닌, 아직 따뜻하게 온기가 남아있는 사진을 손으로 …
[2012-12-31]지난 12월19일 선거는 대한민국의 역사상 매우 중요한 날이었다. 박근혜 대통령후보가 독재자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이라는 사실 때문이 아니라 남성만이 나라를 통치하는 오랜 전통을…
[2012-12-29]올 한해도 며칠 남지 않았다. 지난 일 년 간 나는, 우리는, 무엇을 했고 어떤 것을 이루었는가? 지난 일 년을 마무리하면서 주위 지인들에게 이메일로, 연하장으로 부지런히 인사를…
[2012-12-29]‘대첩’이라고 하면 4대 대첩 즉 살수대첩, 행주대첩, 귀주대첩, 한산대첩이 떠올려진다. 주로 전쟁에서의 대승(大勝)을 의미하는 이 단어는 이번 연말, 한국의 처녀총각들을 설레게…
[2012-12-29]한국의 대선은 박빙의 대결 속에 박근혜 후보의 승리로 끝났다. 박 당선자가 취임 후 남다른 국정운영으로 공약대로 한국을 정의롭고 행복한 나라로 만들어 줄 것으로 기대한다. 한 달…
[2012-12-28]올 한해도 300여편의 영화를 봤지만 해마다 연말에 나의 베스트 텐을 고르자면 여간 애를 먹는 것이 아니다. 해마다 같은 경우이지만 보고나서도 오랫동안 가슴에 남아 생각하면 심장…
[2012-12-28]하늘은 대한민국을 버리지 않았다. 조국 한국에 신뢰감 가고 정직하고 건설적인 박근혜 후보가 제18대 대통령으로 당선이 된 것이다. 불안과 우려와 걱정에서 안도의 평안이 찾아왔다.…
[2012-12-28]직장친구가 잘 가는 미장원에 갔다. 이곳은 캄보디아 여성이 주인인데 손도 빠르고 솜씨도 좋아 갈 때마다 손님이 넘친다. 그래도 미용사가 여럿이라 약속하고 가면 바로 서비스를 받을…
[2012-12-28]미국에 사는 코리안 아메리칸 입장에서 정말 의미심장했던 올 한해가 저물어간다. 흑룡의 해인 2012년 임진년 한국과 미국에서는 20년 만에 똑같은 해 대통령 선거가 치러졌다. 한…
[2012-12-28]연말을 맞아 대대적인 음주운전 적발에 나서고 있는 경찰의 단속의지가 예사롭지 않다. LA 코리아타운을 중심으로 곳곳에 수시로 음주운전 검문소를 설치해 운전자들의 음주 여부를 살피…
[2012-12-28]2012년이 저물고 있다. 몇해째 계속되는 경제 불황과 높은 실업률로 힘들고 고단한 한해였다. 경제지표는 개선되었다지만 한인타운을 중심으로 한 체감경기는 여전히 냉랭하다. 살얼음…
[2012-12-28]2012년은 마야문명의 달력으로 치면 한 시대의 종말이라고 해서 많은 사람들이 지구의 종말론을 실제 벌어질 것처럼 떠들고 다녔던 해다. 물론, Y2K사건 때처럼 1999년을 마감…
[2012-12-27]“저는 진짜 미쳤습니다.” “그래서?” “그래서라니요. 무슨 뜻인지 몰라 묻는 겁니까. 군의관님이 저를 폭격 임무에서 열외 시켜 고향으로 돌려보낼 수 있잖아요. 미친 사람을 죽으…
[2012-12-27]한국인들만큼 1등을 좋아하는 국민도 없을 것이다. 어린아이가 처음 초등학교에 들어가서부터 부모의 관심은 온통 학교에서 몇 등을 했느냐에 집중된다. 등수를 올리기 위해 이때부터 밤…
[2012-12-27]작년 이맘때쯤에 나는 한 대형 스포츠 샵에서 크리스마스 샤핑을 하고 있었다. 몇 가지 안 되는데 100달러가 넘잖아 하면서 손에든 물건 가격들을 더해보고 있었다. 이때 몇 사람…
[2012-12-27]



























정숙희 논설위원
마크 A. 시쎈 / 워싱턴포스트 칼럼니스트
김동찬 시민참여센터 대표
임지영 (주)즐거운 예감 한점 갤러리 대표
신경립 / 서울경제 논설위원
민경훈 논설위원
황의경 사회부 기자
이재묵 한국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김영화 수필가 
▶트럼프 “매우 좋다, 합의 따르겠다” 입장 밝혀연방정부 셧다운을 끝내기 위한 임시예산안이 10일 연방상원 문턱을 넘어섰다.이로써 이날로 41…

한인 2세들의 족쇄가 되고있는 선천적 복수국적법 해결에 청신호가 켜졌다.선천적 복수국적에 관한 위헌적 조항을 개선하기 위한 국적법 기획 간담회…

연방정부 셧다운을 끝내기 위한 임시예산안이 지난 10일 연방상원 문턱을 넘었다. 11일로 42일째 이어진 셧다운은 임시예산안에 대한 연방하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