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크라전·중동위기 경고
▶ AI가 산업지형 바꿀 것
▶JP모건 회장 주주 서한
미국 최대 은행 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회장은 8일 주주에게 보내는 연례 서한에서 잇따른 전쟁으로 인해 세계 경제가 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위험한 순간을 마주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이먼 회장은 이날 공개한 서한에서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 분쟁 등 국제 경제의 위험 요소를 언급하며 "최근 사건들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벌어진 어떤 일도 압도할 수 있는 위험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우리는 이를 가볍게 여겨선 안 된다"고 밝혔다. 그는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이전까지 전 세계가 전반적으로 더 강하고 안전해지고 있던 흐름이 뒤바뀌었다고 평가했다.
'월가의 황제'로도 불리는 다이먼 회장은 매년 주주 서한에서 다양한 경제 현안에 대해 목소리를 내왔다.
그는 올해 서한에서 가장 주요한 이슈 중 하나로 인공지능(AI)의 영향을 꼽으며 AI를 산업혁명을 가져온 증기기관의 발명에 비유해 산업 지형을 바꿔놓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AI가 우리 산업을 얼마나 크게, 얼마나 빨리 바꿀지 알 수 없고, 또한 우리 사회 전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알기는 어렵다"면서도 "AI가 가져올 결과는 인쇄술, 증기기관, 전기, 컴퓨터, 인터넷 등 과거 수백 년간 이뤄온 주요 기술의 발명만큼이나 혁신적이고 놀라울 것이라 확신한다"라고 말했다.
다이먼 회장은 물가 상승압력이 다시 거세질 수 있다며 그에 따른 위험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이먼 회장은 "물가 지표를 포함해 많은 주요 경제지표가 현재 호조를 나타내는 데다 앞으로도 더 좋아질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그러나 앞을 내다보면 물가 상승에 압력을 가할 요인들이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속적인 재정지출, 재무장화, 세계무역질서 재편, 녹색경제 자본 수요, 에너지 인프라 투자 부족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 가능성 등을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현재 미 증시와 회사채 시장은 과도한 낙관론에 기반해 고평가돼 있다고 진단했다. 다이먼 회장은 "대부분 평가척도에서 현재 주가는 평가가치 범주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고, 회사채 스프레드(회사채와 미 국채와의 수익률 차이) 또한 극도로 작아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시장은 경제 연착륙 가능성을 70∼80%로 반영하고 있는데, 내가 보기에 그 확률은 그보다 훨씬 낮을 것으로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다이먼 회장은 "만약 장기채 금리가 6% 이상으로 상승하고, 경기침체까지 수반한다면 은행 시스템뿐만 아니라 부채가 많은 기업에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게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채권 수익률이 2%포인트가량 상승할 경우 주식 등 금융자산 가치가 20%가량 하락하고, 오피스 부동산 시장은 타격이 더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2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현재 세계 견제의 기반이 방이똥과 일루미나티위 거짓말에 세워져 있고 미쿡의 ****** 종이돈 찍어내기위에 있어서 순식간에 붕괘할 위험이 너무 많다..
이런 허무맹랑한 주장 그 동안 수도 없이 들었다. 제발 입 좀 다물었으면 좋겠다. 저런 끔찍한 예언을 했다가 나중에 아니면 말고식의 무책임한 주둥질에 이젠 신물이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