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든 두 명의 여성이 영국 사우스엔드의 해변에 앉아 있다. 후각기관 전문학자들은 노인들의 몸 냄새가 젊은이들의 체취에 비해 덜 역겹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노인 냄새’라는 게 있다. 나이든 사람이 풍기고 다니는 특유의 몸 냄새다. 사실 같은 몸 냄새라도 나이에 따라 느낌의 차이가 크다. 나이든 사람들의 땀 냄새가 젊은이들에 비해 더욱 시큼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나이에 보태 성별 차이도 끼어든다.‘여인의 향기’라는 표현은 지극히 자연스럽게 들리지만‘노인이 향기’는 어울리지 않는 단어의 조합이다. 같은 남자라도 젊은이의 몸 냄새는 성적 매력을 발산하는‘남성적 체취’로 받아들여진다. 반면‘늙은이 냄새’는 어감 자체가 구질구질한 게 악취를 떠오르게 만든다.
45~55 연령대 남성이 가장 독해
75~95세 남성은 호르몬 변화로
젊은 여성의 향기보다 훨씬 순해
‘늙은이의 악취’는 그릇된 고정관념
사실 노인들은 독특한 냄새를 몰고 다닌다. 물론 그 냄새가 고약스럽다는 게 일반화된 속설이다.
그러나 사실은 다르다. 최근 후각기관 과학자들은 실제로 노인 냄새는 젊은이들의 체취와는 확실히 구분되며, 이들의 몸 냄새에 비해 상큼하고 덜 진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인간은 여러 면에서 여타 동물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출중한 능력을 소유하고 있지만 후각기능은 그리 탁월하지 못하다. 후각기능이 제아무리 발달한 사람도 개 코를 따라가지 못한다.
하지만 근년 들어 과학자들은 인간 역시 ‘연애상대’를 선택하거나 혈족을 가려낼 때, 혹은 암수를 구별할 때 무의식적으로 코를 사용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는 인간의 후각 사용범위가 예상보다 훨씬 넓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 주전 ‘PloS ONE’에 게재된 관련 논문은 냄새에 기초해 무의식적으로 나이를 가늠해 내는 인간의 후각 기능에 초점을 맞추었다.
필라델피아 소재 모넬 케미컬 센시즈 센터의 신경심리학자 조한 룬드스트롬은 어린 시절의 기억에서 이번 연구의 영감을 얻었다.
스웨덴에서 성장한 그는 양로원에 근무하던 어머니 때문에 자연스레 ‘노인 냄새’에 익숙해졌다. 엄마를 만나러 양로원을 자주 들락거리다 ‘냄새의 기억’을 갖게 된 것.
그로부터 많은 시간이 흐른 뒤 필라델피아의 한 양로원에서 강연을 하던 그는 강력한 후각적 ‘기시감’(deja vu)을 경험했다고 회고했다.
어릴 적 스웨덴의 양로원에서 맡았던 것과 동일한 냄새를 바다 건너 멀찍이 떨어진 다른 대륙, 다른 국가, 다른 인종의 노인들이 모여 사는 양로원에서 다시 맡았기 때문이다.
룬드스트롬은 이런 현상을 연구실에서 과학적으로 재연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20세에서 95세 사이의 남녀 지원자 41명을 대상으로 ‘체취 실험’에 착수했다.
룬드스트롬은 이들에게 닷새 동안 겨드랑이쪽에 수유 패드를 꿰매 놓은 티셔츠를 입고 잠자리에 들도록 했다. 낮 시간대에는 박테리아 번식으로 실험 결과가 왜곡되지 않게끔 막기 위해 이들의 티셔츠를 냉동 백에 넣어 보관했다.
지원자들은 매일 냄새 없는 비누로 샤워를 하고, 향이 없는 세제로 침대보를 세탁했다.
매운 음식도 피했다. 매운 음식은 땀샘에 영향을 미쳐 분비물이 화학성분에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5일 밤이 지난 뒤 과학자들은 겨드랑이 패드를 떼어내 항아리 속에 집어넣었다. 특정 개인의 유난스런 체취가 실험 결과에 영향이 미치는 것을 막기 위해 각 항아리마다 같은 연령대에 속한 사람들의 패드 가운데 일부를 잘라 함께 넣어두었다.
이어 41명의 지원자들로 구성된 또 다른 그룹에게 항아리 안의 냄새를 감정한 뒤 체취의 강도와 상쾌한 느낌, 혹은 불쾌한 느낌에 따라 등급을 정하도록 했다.
그 결과 75세에서 95세 사이에 속한 사람들의 겨드랑이 냄새가 젊은 층과 중년층에 속한 성인들의 냄새에 비해 덜 진하고 덜 불쾌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반면 가장 독한 냄새는 45~55 연령대에 속한 남성의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지원자들 가운데 가장 상쾌한 냄새는 이 연령층에 속한 여성들에게서 나왔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더 나쁜 냄새를 풍겼으나 나이가 들면서 이 같은 차이가 사라졌다.
룬드스트롬은 나이가 들수록 남성의 여성화가 진행되는 것이 그 이유라고 설명했다.
나이가 들면 남성 호르몬 수준에 변화가 일어나면서 거의 사춘기 이전 상태로 돌아가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또 냄새를 맡는 지원자들에게 여러 개의 항아리를 준 후 같은 연령대에 속한 사람들의 겨드랑이 패드가 담긴 항아리끼리 짝을 맞추도록 했다.
그 결과 노인들의 패드가 담긴 항아리의 짝을 맞춘 회수가 청년층이나 중년층의 냄새 항아리 그룹을 찾아낸 회수에 비해 두 배 이상 많았다.
이에 대해 룬드스트롬은 노인 냄새는 확실히 무언가 다른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이른바 ‘늙은이 몸 냄새’는 병원 냄새가 섞여 들어간 양로원 냄새와 함께 많은 부정적인 연상을 하게 만든다며 만약 지원자들에게 그들이 맡는 냄새가 무엇인지, 어느 연령대의 몸 냄새인지 미리 말해 주었다면 노인들의 체취가 그렇게 호의적인 평가를 받지는 못했을 것으로 추측했다. 흔히들 말하는 늙은이 ‘악취’에 대한 편견이 작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노스웨스턴 대학의 신경학자로 기억과 경험이 후각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의 최고 권위자로 꼽히는 제이 코트프리드는 이번 연구가 많은 흥미로운 질문들을 제기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인간의 후각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뛰어나다며 무의식중에 포착한 낮은 농도의 냄새도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그가 진행한 2007년도 연구 결과는 이 같은 주장을 과학적으로 입증해 주었다.
고트프리드는 연구 참여자들을 의식적으로 감지할 수 없을 정도의 불쾌한 저농도 냄새에 노출시킨 뒤 지극히 평범하고 중립적인 인상을 지닌 얼굴사진을 보여주었다. 이어 사진 속의 얼굴에 대한 품평을 요구하자 미세 농도의 악취에 노출된 참여자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부정적 평가를 내리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고트프리드는 그 어떤 몸 냄새도 상쾌하다고 특징지을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남성과 여성의 순수한 몸 냄새를 추출해 맡아 보았지만, 남성의 체취건 여성의 향기건 다를 바가 없었다”고 말했다.
고트프리드는 “솔직히 말해 젊은 여성의 몸 냄새가 늙은 남성의 체취에 비해 전혀 향기롭지 않았다”며 “하지만 노인의 체취에서 상쾌한 느낌을 받은 것 역시 절대 아니었다”고 말했다.
그는 땀은 향수가 아니며, 몸 냄새는 연령과 성을 불문하고 향기롭지 않다고 잘라 말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