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퓰리처상 수상자 강형원 기자의 한민족의 찬란한 문화유산
▶ (25) 제주도 감귤
제주도에서는 언덕을 ‘오름’이라고 부른다. ‘궷물오름’ 앞으로 온실 재배하는 귤들이 자라는 비닐하우스들이 펼쳐져 있다.
제주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하귤나무 뒤로 제주섬의 기후를 관리하는 한라산 정상이 보인다. 태평양 바다와 앤젤레스 내셔널 포레스트 산맥 사이에서 지중해성 온화한 기후의 생태계를 가진 LA처럼, 제주도 서귀포시를 비롯해 남쪽바다와 병풍처럼 에워싼 한라산이 있는 제주도는 남가주 기후와 비슷한 점이 많다.
미국 주택 건축에서 외벽 습기 차단용으로 쓰이는 타이벡(Tyvek) 방수천을 제주 감귤 농장에서는 감귤나무 뿌리 수분 차단용으로 사용해서 수확을 앞둔 감귤에 단맛을 높이는데 사용하고 있다.
강계남(1574~1632) 할아버지가 제주 애월읍 상가리에 있는 집을 지을 때 기념으로 심었던 진귤나무 3그루가 400여 년이 지난 지금도 그 종갓집 담 안에 그대로 우뚝 서 있다. 이 종갓집은 제주 4.3 학살사건 때 주변의 많은 집들이 불타고 주민들이 이주를 나갔지만 피해가 없었다고 한다.
강계남 할아버지의 차남인 1630년 생 강두환의 13대 종손 강성요(77)씨와 종갓집 맏며느리인 동갑내기 부인 박영옥씨 부부가 400여년이 넘은 조상의 집에서 살고 있다.
제주에서 가장 오래된 귤나무에 열린 진귤.
한라산 정상 모습을 연상케 한다 하여 ‘한라봉’이라고 불리는 제주 감귤은 씨가 없는 캘리포니아 오렌지 맛이 난다.
온실(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하는 한라봉을 한 해녀가 수확하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해녀들이 물질을 나가도 물건(해물) 채취가 예전처럼 많지 않아서 해녀들도 농장에서 일을 한다. 한라봉은 냉장보관하면 여름까지 신선도를 유지하는데, 나무에서 한라봉 꼭지를 기술적으로 잘라야만 한다.
프랑스 출신 Esmile J. Touguet(엄탁가 신부)가 제주 서귀포시 서홍동 성당에 근무하면서 제주산 식물을 연구하였는데, 한라산에서 발견한 벚나무의 원종을 일본으로 보내면서 일본에서 씨가 (거의) 없는 온주밀감 묘목을 1911년에 최초 도입해 온주밀감이 우리나라에서 정착됐다. 한국순교복자수도회 면형의 집에 있던 온주밀감나무 1호는 2019년 4월에 뿌리가 썩어서 더 이상 서있지 못하지만, 60여년 이상 1호 나무와 같이 자라온 밀감나무에 씨 없는 맛있는 귤이 열려 있다.
최근 한파에 내린 눈을 맞은 제주섬의 감귤.
제주도민들이 독점적으로 먹는 귤 중에는 노지 감귤이 있다. 햇볕을 쪼이면서 야외에서 자란 귤로, 크기가 작아서 섬 밖으로 반출은 되지 않지만 맛있는 귤이다.
제주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귤은 자몽(grapefruit) 크기의 레몬맛 나는 하귤이다.
제주 약천사의 자몽 크기만 한 레몬맛 나는 하귤.
서귀포 매일올레시장에서 볼 수 있는 제주밀감 판매대에서 ‘신혼부부 특별할인’이라는 문구가 방문객들의 걸음을 멈추게 한다.
고양시 우수 공무원 28명이 도시행정 역량 강화와 국제적 감각 제고를 위해 풀러튼 시를 공식 방문했다.이재복 사회 복지국장을 단장으로 한 이 …
라구나우즈 한인회(회장 박승원)는 지난 23일 클럽하우스에서 6·25 전쟁 발발 75주년을 맞아 참전용사 18명(한인 생존용사 14명, 연합군…
부에나팍 시는 독립기념일 연휴에 허가 없는 불꽃놀이를 금지해 줄 것을 당부했다.시는 만일에 불법 불꽃놀이 사용 또는 소지를 했을 경우 첫 번째…
부에나팍 시는 내달 16일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엘러스 이벤트 센터(8150 Knott Ave)에서 부에나팍 공정 하우징 웍샵을 갖는다.이날…
풀러튼 시는 헬스케어 응급 동물 구조팀(HEART)과 파트너 십으로 올해 반려 동물 실비 백신 접종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장소는 아메리칸 레드…
트럼프 대통령 판결 직후“위대한 승리”누구든 미국에서 태어나면 시민권을 부여하는 ‘출생시민권’이 일부 주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
지난 5월 암으로 별세한 제리 코널리 연방하원의 후임을 뽑는 버지니아 연방 하원 11지구 보궐선거 민주당 경선에서 제임스 워킨쇼 브래덕 디스트…
연방 대법원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직후 서명한 ‘출생시민권 금지’ 행정명령과 관련해 하급심 법원이 내린 전국적 효력 중단 결정의 적용…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