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미소니언 내셔널 우편박물관 National Postal Museum
우편박물관 전경. 1840년 영국에서 발행된 최초의 우표 포니 블랙. 최초의 우표 프린트 실수본. 24센트 100장이 1만7천달러에 팔렸다고 한다. 포니 익스프레스로 배달도중 인디언의 습격을 받아 분실됐다가 2년 후에 배달된 편지. 우편법 제정을 주도한 죤 행콕에게 배달된 최초의 편지. ▲타이타닉호 침몰전에 배 우체국에서 발송된 편지. (왼쪽부터 시계방향)
갑신정변과 우정국“뉴스와 지식을 전달하는 자, 통상과 산업의 도구, 평화와 선을 누구에게나 그리고 어느 나라에게나 촉진시켜주는 프로모터.”우편 박물관 건물 입구 위에 새겨진 문구다. 이 글을 읽다가 과거의 우편에 관한 여러 가지 생각이 떠오른다. 어린 학생시절에 소위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 하는 문맹들이 꽤나 많았다. 그래서 편지 대필도 많았다. 나는 편지를 써 달라는 사람이 말을 꺼내기도 전에 이미 ‘삼복더위에 옥체 만안하심을….’ 이렇게 시작하면서 ‘무슨 이야기를 전하려는 거죠?’하기도 하고 ‘집에 편지를 보낼 때에 함부로 아버님 이름을 쓰는 것이 아니라 본인 이름이 홍길동이면 봉투의 주소 다음에 홍길동 본제입납(本第入納)이라고 쓰는 것이라고 하면서 꽤나 잘난 척 했던 철없던 시절 생각도 났다. 사실 나의 학창시절만 해도 편지는 예의, 격식을 중히 여기는 하나의 사회 규범이었다. 하지만 우체국하면 한국인으로는 갑신정변이란 역사적인 사건이 가장 뇌리에 박혀 있을 것 같다. 1893년 조선의 고종이 1982년 미국과 통상조약, 공사관 설치에 즈음하여 소위 ‘보빙 사절단’을 미국에 보낸다. 민비의 조카 민영익을 필두로 홍영식, 서광범, 유길준, 변수 등이다. 이들이 귀국해서 첫 번째 사업이 미국식의 우편사업을 받아들여 우정총국을 연다. 그리고 이를 기회로 우편국 낙성식에서 소위 갑신정변을 일으킨다. 아이러닉한 것은 보빙사절단의 공사 민영익을 빼고는 사절단의 전부다가 갑신정변의 주역이 되고 첫번째 시해 대상이 바로 민영익이다. 정변은 실패했다. 나는 내 앞에 있는 우편 박물관(Postal Museum)에서 무엇이 조선의 갑신정변의 모태가 되었는지 알아보아야지 하면서 문에 들어섰다. 우표의 역사박물관 건물은 D.C. 유니온 스테이션에서 걸어 들어가면 2층이 된다. 그리고 William Gross Gallery하고 마침 특별 기획 전시중인 흑인들의 우편사업과 관련된 전시장이 있다. 안내 데스크에 가서 “윌리엄 그로스가 누구냐?”고 물으니 우편 수집가로서 지금 이 화랑의 우편물들은 연방정부, 개인 소장품과 함께 함께 전시되고 있지만 그의 것이 제일 많다고 한다.“오렌지 카운티 한인들 메디칼 자격 요건이 바뀌기 전에 신청 서두르세요”부에나 팍에 사무실을두고 있는 ‘코리안 커뮤니티 서비스 센터’(KCS …
OC페어가 오늘부터 개막된다.남가주의 대표적인 페어 중의 하나인 ‘오렌지카운티 페어’(OC Fair)가 코스타 메사에 있는 OC페어&이벤트 센…
서예와 문인화 강좌 박승수 수묵 화가 지도대한민국 문인화 대전 초대 작가 정산 박승수 씨가 매주 화요일 오전 8시부터 오후 2시까지 세리토스 …
“인공지능 응용에서부터 유쾌한 인문학 강좌 등 다양한 프로그램 수강해요”한양대학교 글로벌 최고경영자(GCEO) 총동문회(회장 김광호)는 지난 …
가든그로브 한인타운 한복판 아파트에서 총격전이 발생해 1명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 살인 사건 현장에는 10여 대의 경찰차와 스왓…
한국전쟁 정전협정 체결 72주년을 맞아 남가주 두 지역에서 기념행사가 열린다. 육군협회와 미국 재향군인회가 개최하는 이번 행사는 한국전 참전용…
[노세희 기자]박흥률 전 미주 한국일보 특집기획국장의 뉴스에세이‘니가 기자냐? 나는 기자다!’ 북콘서트가 지난 16일 LA 옥스포드 팔레스 호…
믿기 어려운 동안 외모, 철저한 자기관리, 그리고 긍정적인 마인드로 K-뷰티 시대를 선도하는 새로운 리더가 등장했다. 2024 미시즈 코리아 …
LA에서 활동하는 배우, 무용수, 가수, 영상 및 사진 예술가들로 구성된 ‘코리아 댄스 크리에이터 뮤지컬’(KDC 뮤지컬·단장 김은교) 팀이 …
40~60대 한인 음악 애호가들로 구성된 LA 채리티 콰이어가 창립 10주년을 맞아 오는 20일(토) 오후 5시 LA 다운타운 콜번스쿨 내 지…
대부분 범죄 전과 없어뉴욕시 일원 연방이민세관단속국(ICE) 구치소에 무려 500명에 가까운 이민자들이 수감돼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연방이민…
한국의 대학 및 대학원생 100명이 최근 워싱턴을 방문했다. 이들은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한국형 I-Corps(혁신단, Innov…
“칠십 평생 살면서 이런 물은 처음이여, 처음.”하늘에 구멍이 났나 싶을 정도로 쏟아지던 비가 그친 18일 충남 예산군 하포리 2구. 흙탕물이…
![]() | ||
|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