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컴퓨터 네트웍 관리자 28% 증가 병원일반회사 등 다방면에 수요 치과 위생사 연봉 5만~8만달러 2년제 대학 학위와 면허 취득해야
향후 10년간 미국에서 붐을 이루는 직업 중에서 간호사는 가장 전망 좋고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미래의 직업으로 꼽힌다.
2020년까지 전망 좋은 직업 10불경기라도 일자리가 넘쳐나는 전망 좋은 분야도 많다. 연방 노동국 통계를 통해 2020년까지 계속 성장하는 미국의 전망 좋은 직업 10개를 선정했다.
1. 간호사(RN)
●총 인원: 273만7,400명
●10년 후 증가 예상치: 26.0%(미국 전체 직업: 14.3%)
●평균연봉: 5만3,770~8만390달러(미국 전체 직업: 2만2,380~5만5,470달러)
●교육정도: 2년제 대졸(AA 학위)간호사(RN)의 전망은 밝다. 향후 10년간 71만1,000명이 추가로 필요하다. 미국 내 모든 직종 중에서 수요가 가장 높다. 첨단 의료기술, 예방의학의 중요성, 고령화로 병원뿐 아니라 의료시설, 롱텀케어 시설 등에서 수요가 계속 늘고 있다.
간호학 학사(4년제) 학위, 2년제 칼리지 간호학위(AA, 2~3년), 또는 공인된 간호학교(2~3년 코스) 학위를 가져야 한다. 요즘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는 임상 간호사는 석사과정이다.
2.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Systems Software Developer)
●총 인원: 39만2,300명
●10년 후 예상 증가치: 32.4%
●평균연봉: 7만7,720~12만500달러
●교육정도: 학사학위컴퓨터만 아는 괴짜들의 세계이다. 셀폰부터 자동차, 커피 기계까지 모든 것이 컴퓨터화 된 요즘 새로운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은 우리 생활에 직결되는 분야다. 좀 더 개량된 사이버 보안, 디지털 건강 기록장치 등이 새로운 기술 전문가들을 위한 직업이다.
컴퓨터 과학 또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분야의 대학 졸업자들이 이 분야의 적격자들이다. 어떤 분야는 석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요구된다.
3. 플러머(Plumber)
●총 인원: 41만9,000명
●10년 후 예상 증가치: 25.6%
●평균 연봉: 3만6,500~6만4,790달러
●교육정도: 고교 졸업 이상신규 건물 건축과 절수형 제품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플러머 직종이 붐을 이룰 것이다. 호황기가 아니더라도 플러밍은 계속 수요가 증가, 직업 안정성이 높다.
고교 이상 학력의 18세 이상, 특히 마약복용 유무검사를 통과해야 회사 취업이 가능하다. 또 기초 수학과 컴퓨터 지식이 필요하다. 견습훈련을 받을 수 있는 공인된 직장은 연방 노동부를 통해 명단을 얻을 수 있다. 주에 따라서 면허가 있어야 한다.
4. 건설 중장비 기사(Construction Equipment operator)
●총 인원: 34만9,100명
●10년 후 예상 증가치: 22.5%
● 평균연봉: 3만2,550~5만6,040달러
● 교육정도: 고교 졸업 이상미국 망가진 기간시설들이 다시 건설되면서 건설 공사장 일꾼들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불도저부터 굴착기까지 다양한 중장비 기술자들이 더 필요하다. 현장에서 배울 수도 있지만 사설 직업학교 프로그램을 통해 면허를 딸 수도 있다.
하지만 요즘 계속되는 연방 예산 자동삭감으로 인해 교통부와 기간시설 투자금이 크게 축소됐으나 연방 의회에서 조만간 자동삭감을 완화시킬 것으로 보여 직업 전망은 밝다.
5. 전기 기사(Electrician)
●총 인원: 57만7,000명
●10년 후 예상 증가치: 23,2%
●평균연봉: 3만7,570~6만5,260달러
●교육정도: 고교 졸업 이상태양열, 풍력 등을 포함한 대체에너지 이용 역시 성장세에 있다. 주택개량과 신규건설도 늘어나 전기기사의 수요가 함께 증가할 것이다.
대부분의 전기기사는 4년간의 도제를 거치고 있다. 자격은 18세 이상, 고교 졸업과 그에 준하는 학력, 1년의 대수학 수업 이수, 적성검사 점수와 마약복용 사실이 없어야 도제가 가능하다. 주에 따라 면허가 필요한 곳도 있다.
6. 개인 재정자문가(Personal Financial Advisor)
●총 인원: 20만6,800명
●10년 후 예상 증가치: 32.1%
●평균연봉: 11만1,880달러
●교육정도: 대학 학사 학위 이상재정에 문제가 있을수록 도움의 손길은 더욱 필요하다. 은퇴 연령대로 접어드는 베이비부머들이 특히 재정전문가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재정자문가 분야는 이번 조사에서 10만달러대 이상의 수입을 보는 2개 분야 중 하나다.
재정이나 경제, 회계분야 대학 졸업장이 필요하지만 많은 회사에서 명확한 전공 분야를 요구하지는 않는다. 공인기관의 재정분야 시험을 통과해 발급 받은 증명서가 있으면 더욱 도움이 되며 어떤 보험과 투자상품은 판매 자격증이 필요할 때도 있다.
7. 보조 물리치료사(Physical Therapist’s Assistant)
●총 인원: 6만7,400명
●10년 후 예상 증가치: 45.7%
●평균연봉: 4만1,320~6만250달러
●교육정도: 2년제 대졸 학력 이상베이비부머 세대가 노령화되고 의료기술 발달로 인한 사망률이 크게 떨어지면서 물리 치료분야 종사자들의 수요가 늘고 있다. 특히 심장마비와 뇌졸중 환자의 재활을 담당하는 분야는 더욱 그렇다.
보조 물리치료사는 정식 물리치료사와 단순 보조원 중간급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직접 물리치료를 할 수 있는 사람들이다. 물리치료사보다는 약 2만7,000달러가량 수입이 적으며 2년제 이상 학력 또는 직업학교에서의 교육이 필요하다.
8. 컴퓨터 네트웍 관리자(Computer Network Administrator)
●총 인원: 34만7,200명
●10년 후 예상 증가치: 27.8%
●평균연봉: 5만5,150~9만160달러
●교육정도: 대학 졸업 이상컴퓨터 네트웍은 각 정부뿐 아니라 병원, 일반회사 등에서 수요가 급증하는 분야다. 보안뿐 아니라 시스템 관리 등 많은 업무를 담당한다.
컴퓨터 공학이나 전자공학 전공이 필요할 것이고 마이크로소프트나 레드 헷, 시스코 등의 제품을 취급하려면 이에 상응하는 이수 증명서를 갖춰야 할 때도 있다.
9. 페인터
●총 인원: 39만500명
●10년 후 예상 증가치: 18.5%
●평균연봉: 2만8,120~4만6,280달러
●교육정도: 학력 필요 없음상업용 건물, 교량, 고층건물 등 페인팅을 요구하는 건설 현장들이 크게 늘어날 것이다. 주택 역시 수년에 한 번씩 페인팅을 다시 칠해야 하므로 수요는 나날이 늘고 있다.
경험이 그다지 필요한 것도 아니다 하지만 회사에 들어가 기술을 배우는 것도 좋다. 상업용 전문 페인터가 되기 위해서는 특별한 자격증이 필요할 수도 있다.
10. 치과 위생사 (Dental Hygienist)
●총 인원: 18만1,800명
●10년 후 예상 증가치: 37.7%
●평균연봉: 5만6,950~8만3,310달러
●교육정도: 2년제 대학 이상치과 위생사뿐 아니라 치과 의사와 치과 보조 직종도 각각 20.7%와 30.8%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치과 위생사는 치아청결, 엑스레이, 환자교육 등을 맡으며 봉급은 치과 보조사보다 두 배를 더 받는다. 2년제 대학 학위를 요구하며 해부, 생리, 영양, 방사능, 치주병학 등을 이수해야 하고 면허를 취득해야 한다. 미국 치과 위생사협회(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에서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김정섭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