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인 대학생이 캄보디아 현지 범죄조직에 의해 살해된 사건이 알려지며 불안감이 커지는 가운데, 태국에서도 외국인 여성이 인신매매 조직에 납치돼 장기가 적출된 채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16일(현지시간) 데일리메일 등 외신에 따르면, 벨라루스 출신 모델 베라 크라브초바(26)는 모델 계약을 위해 태국 방콕으로 향했지만 도착 직후 현지 범죄조직에 납치돼 미얀마 국경 인근으로 넘겨졌다. 여권과 휴대전화를 빼앗긴 그는 폭행과 협박을 당하며 사이버 범죄에 강제로 동원됐다.
보도에 따르면 크라브초바가 끌려간 곳은 미얀마 북부의 ‘캠프’라 불리는 무법지대로, 중국계 범죄조직이 현지 군부와 결탁해 운영하는 대규모 불법 사이버 범죄 기지다. 이곳에 감금된 인신매매 피해자들은 하루 16시간 이상 강제 노동을 해야 하며, 지시를 따르지 않거나 목표 수익을 채우지 못하면 폭행·고문은 물론 장기 적출 위협까지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크라브초바는 부유한 남성들을 유인해 금전을 갈취하는 ‘로맨스 스캠’에 이용됐다. 그러나 수익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자 조직은 외부와의 연락을 차단했고, 며칠 뒤 가족에게 전화를 걸어 “그는 이미 죽었다. 시신이라도 돌려받고 싶으면 50만 달러(한화 약 7억원)를 보내라”고 협박했다. 가족이 이에 응하지 않자 “이미 시신을 소각했다. 더 이상 찾지 말라”며 재차 연락했다.
매체는 크라브초바가 장기 밀매 조직에 팔려 장기가 적출된 뒤 시신이 불태워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크라브초바는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대학을 졸업한 뒤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프리랜서 모델로 활동해왔다.
현지 경찰 관계자는 “그는 처음부터 모델 에이전시가 아닌 범죄 집단으로부터 허위 계약을 받은 것이었고, 태국에서 바로 미얀마 북부로 끌려가 노예로 팔렸다”며 “그곳에서는 여성들이 외모를 이용해 남성들에게 접근해 금품을 뜯어내는 교육을 받는다. 하지만 탈출을 시도하거나 목표 금액을 달성하지 못하면 장기 적출 대상이 된다”고 말했다.
비슷한 피해를 입을 뻔한 러시아 출신 중국계 모델 다시니마 오치르니마예바(24)는 러시아 외교 당국의 개입으로 가까스로 구조됐다. 그는 “모델 제안을 받고 갔지만 실제로는 인신매매의 덫이었다”며 “총으로 위협받으며 일했고 탈출은 꿈도 꿀 수 없었다”고 증언했다.
러시아 주태국 대사도 “그는 악명 높은 노예 수용소에 갇혀 있었다. 그곳은 여성들에게 모델 계약이라고 속여 접근한 뒤 실상은 강제 노동, 로맨스 스캠에 가담시키는 조직이었다”고 밝혔다.
현지 인권단체는 이번 사건을 단순한 인신매매가 아닌 “현대판 신체 거래”라고 규정하며, 이미 수만 명이 미얀마·캄보디아·라오스 등 동남아 전역에서 같은 방식으로 감금돼 있다고 밝혔다.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에 따르면, 이 같은 범죄의 배후에는 삼합회 등 중국계 폭력조직이 자리하고 있다. 삼합회는 캄보디아와 미얀마 등지에서 납치·인신매매·고문·사기 등 각종 범죄를 주도하며, 고수익 일자리로 사람들을 유인해 감금한 뒤 사이버 사기 범죄에 강제로 동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경제>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