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엄한 경비 속 대통령 취임 선서… “재임 기간 목숨 걸고 평화 보장”
▶ 미·EU 등 “사기성 대선” 제재 강화…야권 “군·경, 마두로 불법명령 거부하라”
3번째 임기 시작한 베네수엘라 마두로 대통령[로이터]
니콜라스 마두로(62) 베네수엘라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대통령 취임식을 갖고 3번째 6년 임기를 시작했다.
지난해 대선 개표 불공정성 논란에도 장기 집권 체제를 갖춘 마두로 정부에 대해 서방에서는 '사기성 대선 결과에 따른 대통령 취임'이라고 강하게 비판하며 제재를 한층 강화했다.
◇ 마두로 "목숨 걸고 평화 수호"
마두로 대통령은 이날 카라카스에 있는 베네수엘라 국회의사당에서 호르헤 로드리게스 국회의장 앞에서 대통령 취임 선서를 하고 '헌법상 국가원수'로서 오는 2031년까지 자신의 책무를 다할 것을 약속했다.
그는 연설에서 "헌법에 따라 국민 주권을 수호하는 임무를 계속하기 위해 국민과 함께할 수 있게 돼 영광"이라며 "성숙한 국민들과 함께 평화로운 6년을 만들 것을 목숨을 걸고 맹세한다"고 말했다.
로드리게스 의장은 국가 결속력을 반영하는 어깨띠와 헌법 수호를 상징하는 방주 열쇠 목걸이를 마두로 대통령에게 전달했다.
이로써 지난 2013년 정권을 잡은 마두로 대통령은 오는 2031년까지 총 18년간 장기 집권하게 됐다.
취임식에는 미겔 디아스카넬 쿠바 대통령과 다니엘 오르테가 니카라과 대통령을 비롯해 125개 국가·국제기구 대표단이 참석했다고 현지 일간 엘우니베르살은 보도했다.
이날 취임 행사는 군 장병, 경찰관, 정보요원 등의 삼엄한 경비 속에 진행됐고, 국회 주변과 인근 광장에서는 마두로 지지자들이 모여 "니코(니콜라스), 함께 갑시다" 같은 구호를 외쳤다고 AP통신은 전했다.
◇ 野 대선후보 "반드시 돌아와 대통령 임기 수행"
2018년 대선 전후 민심 이반 움직임을 공포정치로 돌파한 마두로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에서는 에드문도 곤살레스(75) 전 대선 후보와 민주야권 지도자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57) '투톱' 세몰이로 고전했다.
하지만 그는 대선 개표 불공정성 논란 속에 친(親)정부 성향 선거관리위원회와 사법부를 통해 대통령 3선 당선을 확정받았다.
이에 대해 야권 대선 후보였던 곤살레스 전 후보는 자체적으로 확보한 개표 결과를 근거로 내세워 "선거에서 압승했다"고 주장한다.
당국의 체포 위협을 피해 스페인으로 망명했던 곤살레스 전 후보는 최근 미국과 아르헨티나 등지를 잇달아 방문해 자신에 대한 지지와 함께 마두로 정부에 대한 외교적 압박을 호소했다.
그는 "10일부터 대통령 임기를 시작할 것"이라고 공언해 왔으나, 야권 지도자 마차도는 "그(곤살레스)가 귀국할 만한 적절한 시점은 아니다"라고 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밝혔다.
곤살레스 전 후보는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영상 메시지에서 "저는 베네수엘라와 아주 가까운 곳(도미니카공화국)에 머물고 있고 반드시 돌아가 대통령 임기를 수행할 것"이라며 "군과 경찰은 마두로 정권의 불법적인 명령을 따르지 않기를 바란다"고 역설했다.
◇ 서방 제재 강화…이웃도 등 돌려
미국과 유럽연합(EU)을 비롯한 서방에서는 베네수엘라 선거 당국의 개표 불투명성을 지적하면서 곤살레스를 '베네수엘라 대통령 당선인'으로 인정하고 있다.
미·EU·영국·캐나다는 불법적 권력 장악과 민간인 탄압 등을 이유로 마두로 정부 주요 인사들에 대한 자산동결과 입국금지 확대 등 제재를 강화했고, 미국은 별도로 마두로 대통령 체포 또는 유죄 판결로 이어질 수 있는 정보 제공자에 대한 보상금을 기존 1천500만 달러에서 2천500만 달러로 상향했다.
유엔과 주요 7개국(G7)도 별도 성명을 통해 마두로 정부를 비판했다.
베네수엘라와 연대감을 강조해 오던 좌파 성향의 일부 중남미 주변국에서 역시 불투명한 베네수엘라 대선 행정에 대해 지적하고 있다.
특히 2천㎞가 넘는 육로 국경을 맞대고 있는 콜롬비아에서는 첫 좌파 정부를 세운 구스타보 페트로 대통령이 수년간 베네수엘라와 끊겼던 외교 관계를 2022년 취임 이후 재수립했으나, 최근엔 마두로 대통령 비난 대열에 합류하기도 했다.
베네수엘라는 이에 대해 "오늘부터 13일까지 콜롬비아와의 국경을 폐쇄하고 항공편 운항을 일시 중단한다"며 불쾌감을 표출했다.
◇ 차베스 정책 계승한 좌파 포퓰리스트
마두로는 암투병 끝에 숨진 우고 차베스(1954∼2013) 전 대통령의 좌파 성향 이념을 고스란히 계승한 인물이다.
카라카스의 버스 운전사 출신인 그는 차베스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국회의장(2000∼2006년)을 지내면서 영향력을 키웠다.
이후 2013년 차베스 정부에서 외교부 장관과 부통령 등 요직을 두루 거치면서 차베스 전 대통령의 '21세기 사회주의'와 '반미'(反美) 정책을 체화했다.
민족주의 포퓰리즘 성향의 사회주의 이념을 통칭하는 '차비스모'(Chavismo·우고 차베스 전 대통령 이름에서 유래한 용어)와 강력한 카리스마를 기반 삼은 그는 석유를 비롯한 천연자원 수출 일변도 경제 정책을 펼치다 저유가 기조와 미국의 강력한 제재에 직격탄을 맞았고, 베네수엘라 경제와 치안은 악화 일로를 걸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1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마두로 이 인간 정말 야비한 놈인데.. 언젠가는 지옥으로 떨어지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