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英매체 진단…군사독재 등 ‘흑역사’ 몰랐던 젊은세대에 충격
▶ “급속 성장에도 뿌리 깊은 권위주의 사회 전반에 남아” 지적
Protesters hold placards during a candlelight vigil to condemn South Korean President Yoon Suk Yeol’s surprise declarations of the failed martial law and to call for his resignation in Seoul, South Korea, December 5, 2024. REUTERS/Kim Kyung-Hoon TPX IMAGES OF THE DAY
"K팝의 긍정적인 분위기에 익숙해 있던 전 세계 관중들은 그동안 몰랐던 한국의 다른 면을 실시간으로 목격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그룹 방탄소년단(BTS)과 블랙핑크, 드라마 '오징어게임' 등으로 대표되는 한류 열기에 매진하던 국제 사회가 이번 계엄 선포 사태를 계기로 잘 드러나지 않았던 한국의 권위주의 문화와 군사 독재 역사에도 주목하게 됐다는 진단이 나온다.
6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은 "K팝과 독재자들: 민주주의에 가해진 충격이 한국의 양면을 드러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이같이 진단하면서 그간 한류 열기에 가려져 주목받지 못하던 한국의 군사 독재 등 '어두운 면'을 조명했다.
이 매체는 수십 년 만에 한국에서 계엄이 선포된 이번 사태가 군사 독재 체제의 한국을 경험하지 못한 국내외 젊은 세대들에게 특히 충격을 가져다줬다고 짚었다.
가디언은 한국은 "최근 몇 년간 '소프트 파워'(문화적 영향력) 패권을 둘러싼 국제적 경쟁에서 분명한 승자였다"면서 BTS로 대표되는 한류 열풍은 불과 수십 년 전만 해도 사람들이 잘 알지 못하던 이 나라를 '문화적 거물'로 변모시켰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전 세계에서 또 다른 한류 열풍의 주역인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 시즌 2 공개를 둘러싼 기대가 커지고 있던 불과 며칠 전, 난데없이 벌어진 계엄 사태로 "'현실판 디스토피아'가 여기에 불쑥 끼어들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한류 열기와 최근의 혼란상 간의 가장 충격적인 대비는 화요일 밤 서울 국회의사당 밖에서 의원들이 담벼락을 기어 올라가고, 군용 헬기가 머리 위를 날아다니는 와중에 자신들의 대통령이 중단시킨 민주주의를 되찾기 위해 무장 군인들에 맞서는 현장에서 분명하게 드러났다"며 계엄 선포 사태가 2024년 국제 사회에 던져 준 충격을 설명했다.
이 매체는 이번 계엄 선포는 분명 충격적인 일이었지만 한국이 사실 군사 독재에서 벗어나 민주화를 이룬 기간은 그리 길지 않다는 점에 주목했다.
가디언은 한국이 30년 가까이 이어진 군사 독재에서 벗어났다는 것을 국제 사회에 공표한 것은 불과 1988년 서울 올림픽 때부터였다면서 그전까지 한국의 지도자들은 반정부 시위를 탄압하기 위해 군인들과 계엄 선포를 이용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민주화 이후 한국이 일궈낸 눈부신 경제, 문화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사회 곳곳에 남은 권위주의적 문화의 잔재는 이번 계엄 선포 사태에도 여실히 드러났다고 꼬집었다.
가디언은 한국의 "급격한 경제, 문화적 성취에도 불구하고 이 나라는 여전히 제도들 깊이 뿌리내린 권위주의적 경향과 씨름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것들은 종종 전통적인 위계 구조와 네트워크들에 의해 방조되고 더 커지는데, 이는 이번 계엄 사태에서 윤 대통령의 고등학교 연줄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의혹에서도 드러난다"고 짚었다.
가디언은 이번 일을 두고 한국 내에서는 그간 쌓아 올린 국가적 위상과 이미지가 훼손됐다는 비판과 함께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한국 민주주의의 힘을 보여줬다는 평가도 함께 나온다고 전했다.
한 서울 시민은 가디언에 "우리 평판이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면서 "특히 올해 한강 작가가 노벨 문학상을 타고 우리의 평화로운 글로벌 이미지로 이러한 평판을 높이 쌓아왔다. 이 모든 것들이 한순간에 무너졌다"고 말했다.
다른 시민은 이번 일이 "한국의 이미지를 훼손한다기보다는 이 일이 아직 남아있는 우리의 비민주적인 요소들을 종식 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전국에서 20만명에 가까운 시민들이 거리로 나와 윤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한 가운데 한국의 10대∼20대 등 소위 'Z세대'들은 윗세대에 비해 이번 일에 관심이 덜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날 열린 전국에서 열린 대규모 집회에 참여한 대부분이 50대 이상이었다면서 젊은 세대들은 비교적 이러한 정치적 논쟁에 지쳐있으며 당면한 집값 문제 등에 더 관심이 있는 모습이라고 전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4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그리고 자꾸 30프로ㅜ어쩌고 하는데… 낌땡뚱이때부터 다 투표조작해서 실지로는 몇몇 씨아이에이가ㅜ다 임명했는데… 무슨 보수? 씨아이에이한테ㅡ가서 불평을 하든지……놈혀니… 뭉가 다 씨아이에이와 일루미나티가 임명한 종자덜이다…. 또바마가 직접 자기 고등학교인가 뭔가 똥성연애자 애인을 대사로 보내 지휘한건데….
오징어 게임 2 라고 하면 않돼나? 계엄령이 오징어ㅜ게임에 비교하면 너무 조용한데? 오징어ㅜ게임은 몇백명 다ㅜ죽어야 끝나는데…. 한명도 죽지를 않했으니….
참... 모지리 30%가 지지해서 만든 대통들은 하나같이 저런짓을 하는지.. 오죽 했으면, 보수 논객이라는 정규제도 포기했다고 한다. 굥똘과 씨레기를 지지하는 모지리 30%는 보수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암 덩어리 다. 다시 일어서는 대한민국을 위해서라도 저런 시레가들은 없어져야 한다. 두번 다시, 노무현 문재인 처럼...시레기들과 대화와 타협이라 말도 안되는 소리 하는것들은 없었으면 한다. 오호 통제라... 오호 애제라 !!
자랑스런 우리 미친 석열이의 k 계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