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퓰리처상 수상자 강형원 기자의 한민족의 찬란한 문화유산
▶ (42) 대가야(大加耶) <상>
송곳니가 있어 영어로는 뱀파이어 사슴(Vampire deer)으로 불리는 고라니 한 마리가 고령 지산동 고분군 제5호분(1978년 정비) 위로 날아가듯이 넘어가고 있다. 사진 속의 고라니 순간포착 장면이 흡사 ‘고구려 무용총 수렵도’에 나오는 사슴의 모습을 닮았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고령 지산동 고분군에는 700기 이상의 확인된 고분이 서기 400년에서 대가야가 신라에 562년 흡수 멸망할 때까지 모여 있다. 문화재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기 전까지 일제강점기부터 시작해온 우리 고분의 도굴은 지속적으로 행해져왔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금관가야의 시조인 김해 수로왕릉 사적 제73호. [Photo ⓒ 2021 Hyungwon Kang]
대가야의 고령 지산동 대형 고분 44호분 순장 덧널무덤을 재연 해 놓았다. 고령 지산동 고분군, 사적 제79호에 있는 대형 고분마다 순장덧널(순장석곽 殉葬石槨)이 수십개씩 있는데, 지산동 44호분의 경우 대략 40여명에 이르는 사람이 순장된 것으로 여겨지며, 10대에서 60대에 이르는 남녀가 확인되었고, 부부, 자매, 부녀가 함께 순장되는 등 다양한 인간관계가 반영되었는데, 역할도 호위무사, 창고지기, 시녀, 마부, 일반백성 등 다양한 직업군으로 추정되고 있다" 고 한다. 순장은 이승의 삶이 저승에서도 이어진다는 계세(繼世) 사상에 의거한 장례 풍습인데, 다른 삼국시대 고분에서는 아직 이러한 대규모의 순장 사례가 발견된 적이 없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뛰어난 솜씨를 보여주는 가야의 특별한 토기 대표작들인 국보 제91호 기마인물형토기(騎馬人物形土器)가 240cc 정도 술이나 물을 따르는 데 쓰던 주자(注子) 병이라면, 국보 제275호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陶器騎馬人物形角杯) (오른쪽) 은 술을 받는 잔이다. 두 토기에 등장하는 말은 죽은 이를 하늘로 인도하리라는 믿음에 입각하여 그당시 기마문화를 보여주며, 인간의 중요한 교통수단이었던 말 전신을 철기 갑옷으로 감싸고, 목과 가슴을 보호하기 위해 전쟁시 착용하는 갑옷 경갑(頸甲)을 입은 모습은 고구려의 고분 벽화에서 보이는 경갑과 비슷한 형식의 작품이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지산동 고분군 44호분 순장 덧널무덤에서 발굴된 가야시대 다양한 토기들.
[Photo ⓒ 2021 Hyungwon Kang]
신석기시대 때부터 한반도에서 발전해온 토기 가운데 가장 조형미가 뛰어나며 곡선이 아름다운 가야토기(加耶土器)를 통해 우리 민족의 예술적인 표현을 잘 드러냈다. 경남 김해 대성동 에서 1992년 발굴된 4-5세기경 가야 토기. [Photo ⓒ 2021 Hyungwon Kang]
김해 여래리에서 2012년 발굴된 가야 4-5세기 그릇받침. 가야토기는 신라 토기에 비해서 날렵하고 세련되게 만들어져 있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삼각구멍 무늬잔. 경남 합천 저포리, 1988년 발굴, 삼국시대(가야) 5~6세기.
[Photo ⓒ 2021 Hyungwon Kang]
사슴이 붙은 구멍단지는 제사나 각종 행사에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가야금 토우. 가야금은 가야왕국에서 발명된 악기이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대가야박물관 정동락 관장은 대가야의 대부분 고분들은 도굴의 피해를 본 고분들이라고 말한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고령 출신의 고령군 문화관광해설사 이용호씨는 70년대에 초등학교 다닐 때 여름방학에는 토기를 가져오는 것이 숙제였는데, 선생님들이 좋은 것은 가져가고 깨진 유물은 학교에 전시해 놓고, 아이들은 돌로 가야유물을 깨서 부수는 ‘부석치기’ 놀이를 했다고 전했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앞으로 성가 작곡을 할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아마 마지막 성가 작곡 발표회가 될 것 같아요”65년동안 400여 곡의 성가, 찬송가를 발표해…
한인 사회에서 신망 받는 인사들간 협력을 통해 지역사회에 기여를 목표로한 ‘국가원로회의 미 서부 지부’(상임의장 김향로, 공동의장 한광성, 권…
‘한인경찰국협의회’(Korean Law Enforcement)는 오는 5일부터 8일까지 부에나팍 다블 트리 힐튼(7000 Beach Blvd.…
오렌지 카운티 한미 시니어 센터(회장 김가등)는 오늘(3일, 금)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까지 가든그로브 커뮤니티 센터(11300 Stanf…
‘소망소사이어티’(이사장 유분자)는 오늘(3일, 금) 오전 10시 30분 사이프레스에 있는 사무실(5836 Corporate Ave. #110…
“반세기 넘게 이어지며 지역사회의 전통이 된 코리안 퍼레이드에서, 올해도 한국 전통예술의 아름다움과 멋을 한껏 펼쳐보이겠습니다” 제52회 LA…
실비치 레저월드에 거주하는 시니어들의 모임인 ‘실비치 기타 앙상블’의 2025년 정기연주회가 오는 11일(토) 오후 3시 레저월드 내에 위치한…
경상북도 해외자문위원 협의회(회장 서정배, 호주)의 2025년 정기총회가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1일까지 경주 힐튼호텔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
“커뮤니티를 지키는 든든한 발걸음을 내딛으며, 한인사회의 안전과 자부심을 함께 전하겠습니다” 오는 10월18일(토)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L…
아이비리그 소속 8개 대학 가운데 유일하게 한국어 프로그램이 없었던 다트머스대가 올 가을학기부터 한국어 수업을 개설했했다.다트머스대 교지는 아…
연방의회에서 임시예산안 처리가 불발되면서 1일 연방정부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에 돌입했다.셧다운은 의회가 연방정부 운영에 필요한 예산 법안…
저소득층의 주거 안정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제도가 ‘하우징 바우처(Housing Voucher)’다. 이 제도를 활용하면 수혜자는 임대료의 전액…
연방정부의 일시적 업무정지(셧다운) 사태가 2일 이틀째를 맞은 가운데 여야 정치권의 격렬한 대치가 완화되기는 커녕 오히려 가팔라지고 있다.연방…
![]() | ||
|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