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퓰리처상 수상자 강형원 기자의 한민족의 찬란한 문화유산
▶ (29) 연천 전곡리 주먹도끼
주한미군 공군으로 한국에서 복무 중이던 그레그 보원은 1978년에 서울에서 45마일(72km) 북쪽에 위치한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리 한탄강변에서 구석기시대(250만~1만년 전) 당시 인류의 최첨단 생존 연장이었던 ‘주먹도끼’를 우리 한반도 땅에서 찾아내는 놀라운 업적을 남겼다. 보원이 발견한 길이 9.3인치(23.6cm) 크기의 아슐리안(Acheulean) 형 연천 전곡리 주먹도끼는 역사적으로 유럽 쪽에서 많이 발견되었던 것이다. 그가 한국에서 찾아낸 70만년 된 아슐리안형 주먹도끼는 동아시아에선 최초의 발견이었다. 연천 전곡리 유적은 대한민국의 사적 제268호로 지정되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번호 신수 51599) [Photo ⓒ 2020 Hyungwon Kang]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슴베찌르개(有莖尖頭器)는 날 부분을 찌르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형태를 가공한 석기이다. 경기도 광주군 에서 출토된 한반도 후기 구석기시대(4만~5만년 전부터 기원전 7000~9000년)의 길이 5.1cm 슴베찌르개 석기의 아랫부분을 뾰족하게 가공하여 나무 등에 장착하여 사용한 결합도구인데, 칼이나 호미처럼 자루에 결합하는 슴베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반도 후기 구석기시대를 설명하는 데 있어 중요한 유물이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번호 신수 29500) [Photo ⓒ 2020 Hyungwon Kang]
울산 황성동 신석기 유적에서 출토된 골촉 박힌 고래뼈는 신석기시대 전기(7000여 년 전) 울산지역 사람들이 고래사냥 했다는 결정적인 증거다. [Photo ⓒ 2020 Hyungwon Kang]
반구대 암각화에는 선사시대부터 고래사냥을 했다고 기록한 암각화에 작살을 사용해서 고래사냥을 했다는 명확한 그림을 바위벽에 새겨 놓았다. 사람이 고래 등에 업혀서 사냥하는 그림을 돌에 새겨 놓았다. [Photo ⓒ 2020 Hyungwon Kang]
신석기 시대에는 돌을 갈아서 만든 “간석기” 도구를 썼다. 한반도에서는 신석기 시대에 돌로 갈아서 만든 창, 화살, 예리한 칼 등을 무기로 사용했다. [Photo ⓒ 2020 Hyungwon Kang]
한국의 태권도가 부에나팍 시에서 개최한 문화 페스티벌에 참가해 찬사를 받았다.‘국기원 캘리포니아 지부’(지부장 신용섭, 사무총장 김진섭)와 ‘…
한미가정상담소는 오는 30일부터 12월 11일까지 6주 동안 매주 목요일 오전 9시 30분(추수감사절 휴강)까지 ‘그림으로 나는 만나다’라는 …
65년동안 400여 곡의 성가, 찬송가를 발표해 남가주에서 잘 알려져 있는 백경환 목사가 지난 11일 벨플라워에 있는 가나안 교회에서 ‘제13…
법률 보조 소사이어티는 매달 3번째 목요일 정오부터 오후 3시까지 부에나팍 시니어 센터(8150 Knott Ave.,부에나팍)에서 60세 이상…
가주 늘노래 합창단(지휘 전성진)은 오는 26일(일) 오후 5시 애나하임 로뎀 장로교회(1759 W. Broadway)에서 제3회 정기 연주회…
■ 도산체육관코리안 퍼레이드 1회 시작부터 지금까지 함께 해온 도산태권도가 올해도 어김없이 퍼레이드에 참여해 행렬을 멋지게 장식한다.지난 19…
대한노인회 미주총연합회(회장 조광세)는 한국의 전통 명절 추석을 기념하는 ‘시니어 음악회 및 효자·효부상 시상식’을 지난 4일 개최했다. 행사…
남가주 아시안정의진흥협회(AJSOCAL·정진협)는 카니 정 조 전 대표의 후임으로 비영리 단체 경영 전문가 다니 K 쓰보이를 공식 선임했다고 …
중앙대학교 남가주 동문회(회장 허운동)는 지난 11일 다이아몬드바 골프장에서 남가주 동문회 총장배 골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대회에는 많은 동…
소캘 러너스 클럽(회장 이상남)이 최근 비숍으로 2박3일의 캠핑 여행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캠핑 여행에는 54명이 참가해 비숍 단풍 하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행정부의 국정 운영에 반대하는 ‘노킹스’(No Kings·왕은 없다) 시위가 18일 뉴욕을 비롯한 미 전역 50개주 2…
워싱턴한인복지센터(이사장 김진아), 워싱턴지역한인교회협의회(회장 전찬선 목사)와 본보가 공동 주최한 ‘사랑나눔 걷기대회’가 지난 18일 메릴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7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회담을 앞둔 상황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만나 우크라이나 전…
![]() | ||
|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