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 가격이 많이 올랐다. 지역에 따라서는 신선한 통마늘 사기가 힘든 곳도 있다. 마늘 품귀 현상 때문이다.
‘세계의 마늘 수도’로 불리는 북가주 길로이의 마늘 업계에 따르면 마늘 품귀는 코비드-19가 불러온 또 다른 현상이다. 업계에서 분석하는 이유는 대략 3가지. 자가 대피령과 함께 집에서 요리를 하게 되면서 가정의 마늘 소비가 크게 는 것이 주 원인이다.
길로이의 3대 대형 마늘 농장 중 하나인 크리스토퍼 랜치에 따르면 보통 한 주에 50만 파운드를 출하하던 것이 갑자기 80만 파운드로 늘었다. 수요가 늘기 시작한 것은 자가 대피령이 내려진 지난 3월부터. 마늘 수요처는 크게 마켓, 식당, 가공업체 셋으로 나눠지는데 식당이 대폭 준 반면, 마켓 수요가 엄청 늘었다.
마늘이 코로나바이러스에 좋다는 인식도 수요 급증에 한 몫을 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UC 버클리의 한 전염병 전문가는 이런 추측에 찬물을 끼얹는다. “나도 마늘을 많이 먹지만 마늘이 감염병으로부터 지켜줄 것으로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말한다.
지난해에는 마늘 수확을 앞둔 5월에 늦은 비가 내리는 바람에 길로이의 마늘 작황이 좋지 않았던 것도 원인의 하나로 꼽힌다. 크리스토퍼 랜치만 해도 비 때문에 1,000만 파운드 이상의 마늘을 폐기처분했다고 한다. 모자라는 물량을 채우기 위해 스페인, 아르헨티나, 멕시코에서 일부를 수입했으나 마늘 공급이 달리는 것은 세계적 현상이라는 전언이다.
마늘 산지 길로이가 지척인 샌호세의 마켓만 해도 요즘 통마늘 5개 한 묶음이 3달러 이상으로 올랐다. 남가주 한인마켓에서는 한때 99센트 하던 것이다.
하지만 마늘 품귀 현상은 걱정할 필요가 없다. 마늘은 가을에 심어 다음해 늦은 봄이나 여름에 거두는 작물. 길로이의 경우 조금 있으면 올해 마늘 수확이 시작된다. 유통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리겠지만 캘리포니아의 소비자들은 다음 달이면 올해 햇마늘을 살 수 있을 것으로 길로이가 로컬 취재처인 샌호세 머큐리 지는 전망한다. 마늘이 다량 필요한 분들은 한 달 여만 기다리시면 되겠다.
코로나-19가 덮치면서 사재기 열풍이 불었다. 화장지, 냅킨, 키친타월, 클리넥스 등은 한동안 선반에서 찾을 수 없었다. 세정제, 타이레놀, 체온계, 과산화수소, 증류수 등도 품귀 목록의 한 자리를 차지했다. 밀가루와 이스트가 떨어진 마켓도 있었다. 지금은 거의 대부분 마켓 선반 위로 돌아왔다.
사재기 열풍이 불 때 사놓았던 식수들. 집 한 구석에 쌓여있는 병물 박스를 보면 피식 웃음이 나올 것이다. 쌀과 라면 등도 그렇게 사들여 정작 필요한 사람들이 살 수 없어 애태우게 할 이유가 없었다.
불안한 상황이 내부적으로는 불안증, 밖으로는 사재기를 불러온다. 요즘 육류 부족과 가격 상승은 현실이다. 가공업체 종업원들에게 코로나바이러스가 확산돼 정상운영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고기가 모자라면 당분간 단백질 원을 생선 등으로 돌리면 되지 않을까. 사재기가 대부분 근거없는 공포의 소산이었다는 것을 이번 사태는 보여준다.
<
안상호 논설위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2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아직도 상점에 품절상태로 남아있는 것이 Disinfecting Spray 입니다. 코비드19 사태 이후 수요가 5배로 증가했다고 합니다. 이건 사재기가 아니라 실제로 사용량이 그렇게 늘었다고 봅니다. 사람들이 청결유지에 그만큼 더 신경을 쓰는 좋은 현상입니다.
선거 운동을 할때부터 눈으로 귀로 행동으로 볼수도 들을수도 보기도 했는데도 안믿고 그 트 라면 미쿡을 아니 자기 생활이 확실하게 좋아질거라 믿었든 아니 아직도 믿는 이들이 있다는게 꼭 안보고 생각할 필요도 없이 남들이 카더라하며 사재기 하는걸 보면서 자기들도 사재기하는게 도대체 사람들이 무얼 생각하며 사는지 도저히 알다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드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