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대 음반사·아티스트, 하루간 업무 중단…국내선 하이어뮤직 동참
▶ 할시·닉 캐넌·제이 콜·영블러드 등 직접 시위 참가

[AP=연합뉴스]
최근 미국에서 백인 경찰에 의해 비무장 흑인이 사망한 사건이 발생하자 현지 음악 산업계가 이에 항의하기 위해 하루 동안 일손을 내려놓는다.
지난달 30일 빌보드 등 외신에 따르면 많은 음반사와 아티스트들은 오는 2일을 '블랙아웃 화요일'(Blackout Tuesday)로 명명하고 모든 업무를 중단한다는 글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리고 있다.
이런 움직임은 지난달 25일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서 백인 경찰이 무장하지 않은 흑인 남성 조지 플로이드의 목을 무릎으로 찍어눌러 숨지게 한 사건에 항의하기 위해 시작됐다.
다수 음반사와 가수들은 "책임감과 변화를 끌어내기 위한 긴급한 조치를 할 때 우리와 함께해달라"며 "오는 2일 화요일은 직장과 단절하고 지역사회와 다시 연결하는 날"이라는 성명을 공유하는 중이다.
'TheShowMustBePaused'(쇼는 중단돼야 한다)라는 해시태그(#)와 함께 게재된 해당 성명은 "문화의 문지기로서, 승리를 축하하기 위해 함께 모이는 것뿐만 아니라 상실하는 동안 서로를 떠받치고 있는 것이 우리의 책임"이라는 내용도 포함됐다.
컬럼비아 레코즈를 비롯해 스포티파이, 캐피톨 레코즈, 애틀랜틱 레코즈, 라이브 네이션 등 음악 관련 회사와 프로듀서 퀸시 존스, 라디오 쇼 진행자 에브로 다든 등 아티스트들이 이에 동참할 뜻을 밝혔다.
세계 3대 음반사인 워너 레코즈, 유니버설 뮤직, 소니 뮤직 등 대형 음반사들도 오는 화요일에 업무를 중단한다고 잇달아 발표하면서 '블랙아웃 화요일'은 점차 확산하는 모양새다.
워너 뮤직 그룹 산하 레이블인 워너 레코즈는 "이것(업무 중단)은 단지 하루뿐이지만, 우리는 진정한 변화를 위해 싸우는 것을 계속하는 데 전념할 것"이라며 "인종간 불평등과 싸우는 데 결정적인 일을 하고 있는 단체 '흑인 생명도 중요하다'(Black Lives Matter)와 다른 기관에 기여하겠다"는 글을 지난달 30일 공식 SNS에 올렸다.
유니버설뮤직과 소니뮤직도 공식 SNS에서 "우리는 흑인 사회와 함께한다"는 글을 올리며 연대를 강조했다.
국내에서는 가수 박재범이 이끄는 힙합 레이블 하이어뮤직이 '블랙아웃 화요일'에 참여한다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앞서 하이어뮤직은 SNS에서 가수 비의 사진과 함께 박재범, 식케이, 김하온 등을 언급해 이들이 협업곡을 오는 2일 오후 6시에 공개한다고 암시했지만, "소속 아티스트 및 임직원은 2일 예정돼 있던 곡의 발매를 연기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보이그룹 갓세븐 마크, 밴드 데이식스 제이, 싱어송라이터 크러쉬 등 국내에서 활동하는 가수들은 조지 플로이드의 장례비와 가족들의 소송 비용 등을 위해 만들어진 펀드에 기부를 했다.
걸그룹 모모랜드 낸시, 주이, 아인 등은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미니애폴리스의 연대와 함께한다는 사진을 올렸다.

미국 팝스타 할시 [AP=연합뉴스]
비욘세, 테일러 스위프트, 레이디 가가 등이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을 온라인에서 강하게 비판한 가운데 일부 팝스타들은 미국 전역에 번진 항의 시위에 직접 참가하기도 했다.
방탄소년단(BTS)과 협업한 것으로 잘 알려진 가수 할시는 로스앤젤레스(LA)에서 지난달 30일 열린 시위에 참여해 겪은 일을 자기 SNS에 공유했다.
그는 시위대는 평화로웠고 손을 들고 있었지만 경찰은 군중을 향해 고무탄을 발사했다며 그 역시 두 발을 맞았다고 전했다. 할시는 이튿날 산타 모니카 시위에도 가담했다.
래퍼 겸 배우 닉 캐넌은 조지 플로이드가 마지막으로 남긴 말인 "Please I Can't Breathe"(숨을 못 쉬겠어요)라고 적힌 상의를 입고 지난달 29일 미니애폴리스 시위대와 함께 행진했다.
이 외에도 영국 출신 가수 영블러드, 래퍼 제이 콜, 머신 건 켈리 등이 시위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미니애폴리스 항의시위에 참가한 래퍼 닉 캐넌 [AP=연합뉴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3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이런놈들이 더 선동을 하니 그 음악을 듣는 젊은이들도 무분별하게 시위를 하는거고,,오히려 흑인들이 더 자제하고 조신하는 모습을 보여야 지금 그 진실함이 공감이 될텐데 오히려 더 부추기도 있으니 이게 모야 대체..이래서 마틴 루터 킹이 더 추앙받는거고.크리스찬은 아니지만 그의 애국심과 그의 염원은 높이 산다 그가 흑인이든 어쨋든간에..지금 그 사람의 반의 반만이라도 되는 흑인들 지도자가 없다는 점.그리고 너무 지 하고싶은대로만 하는 그들의 행보.다 한만큼 받는거
부럽다. 억울하게 죽은 흑인을 애도하기위해 오바마, 레브론 제임스, 마이클 조던, Lady GaGa, Ariana Grande, 오프라 윈프리, 마돈나 등등 기라성 같은 인물들이 동참했는데 만약 한인이 이런일로 죽었다면 누가 동참할까? 신문 기사에는 날까? 여기서 사교성도 없어 미주류사회에 진출 못하고 한인타운에서 한인들끼리만 살며 공부만 잘하는 온순한성격에 좋은 직장얻으면 그만이다하는 사고방식 고쳐야한다.
폭력과 범죄를 조장하는 흑인 쓰레기 음악 영원히 사려져도 괜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