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콜·약물·자살 의한 사망 최고 68%↓
예배 출석 의료 관계자의 절망감에 의한 사망률이 낮다는 연구 결과가 소개됐다. [연합]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소프라노 ‘천상의 목소리’ 조수미의 ‘매드 포 러브(Mad For Love)’ 콘서트가 오는 13일 라스베가스 팜스 카지…
남가주호남향우회(회장 김재율)는 지난 7일 위티어 내로우 골프장에서‘고국 모범청소년 초청연수 장학기금 마련을 위한 골프대회’를 성황리에 개최했…
KAMA USA 실버모델협회(회장 백은경)는 지난 4일 독립기념일을 맞아 부에나팍 소재 랄프 클락 공원에서 회원들과 함께 야외 피크닉 행사를 …
이민자 권리와 커뮤니티 연대를 주제로 한 한인타운노동연대(KIWA) 페어가 오는 10일(목) 오후 4시부터 7시까지 LA 한인타운 서울국제공원…
서울대 남가주 총동창회장을 역임한 김병연 장로가 지난달 28일 별세했다. 향년 76세.서울대 공대를 졸업한 고인은 LA 한인타운에서 ‘작가의 …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추방 지시로 인해 한국으로 자진 출국한 미군 한인 참전용사 박세준(55)씨 구명을 위한 서명운동이 전개되고 있다.온라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한 초대형 감세·지출법안이 연방 의회 통과에 이어 지난 4일 대통령 서명으로 확정되면서, 전국민 건강보험으로 불리는…
연방 이민당국이 LA 한인타운에 인접한 맥아더팍에서 7일 오전 전쟁터에서나 볼 수 있는 총기로 중무장한 군대를 동원해 급습 이민 단속을 펼치면…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5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당연한거 아닌가요? 신앙생활 하는 사람들이 안하는 사람보다 모든 면에 더 건강하고 안정되어 있습니다. 사회적인 현실입니다.
남자의 경우라고도 할 수 없죠. 특수직에 있는 남성의사들이 평범한 모든 남성을 뜻하진 않으니까. 0,0046%의 숫자는 연구 결과를 대변할 수 없어요. 이미 형성된 원칙을 굳이 종교와 연결하여 논문하나 썼네요. 오래 전 하바드 교수의 저서중에 주일마다 교회가는 미국인은 5% 미만이라고 발표한 게 있지요. 조직적인 종교의식보다 88% 이상이 영적으로 하나님을 알기 때문에 교회에 가지 않는데요. 그리고 요가며 명상이며 한 참 유행이었죠. 이 논문은 마약 무서우면 교회 가라. 자살하기 싫으면 교회 가라. 뭐 그런건가?
사과와 오렌지를 비교하셨네요. 하버드가 갈수록 쓰레기장이 되어가는데... 학자사이에 질문이 많겠네요. 간호사 사망자 총 75중에서 32명은 자연사 및 다른 질병에 의한 것이니 총 66492명중에서 43명의 사망자가 약물 중독으로 인한 자살인데 이 숫자를 사용하였어야지요. 샘플의 0.065%로는 연구조사 결과를 운운할 수 있는 게 아니라서 살고 싶어 발버둥 치며 죽어간 사람까지 계산에 넣은 실수가 있네요. 죽었다가 다시 깨어나도 다시 살고 싶은 사람에게 자살운운은 하버드답지 않은 쓰레기를 생산해 냈군요
연구결과 '예배'라 표현되어 있지 않다. 종교 활동이라고 되어 있다. 바르게 알려야.......In this cohort study of 66 492 female registered nurses and 43 141 male health care professionals in the US, attendance at religious services at least once per week was associated with a 68%...
a 68% lower hazard of death from despair among women and a 33% lower hazard among men compared with never attend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