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최악계약’ 지론에 3년도 안된 합의 ‘유명무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탈퇴를 공식 선언했다.
주요 6개국(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독일)과 유럽연합(EU), 이란이 2015년 7월 협정을 체결한 지 3년여 만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후보 시절부터 버락 오바마 전임 대통령의 최대 업적 가운데 하나인 이란핵합의를 '최악의 계약'으로 저평가해왔다.
그는 취임 후에도 같은 기조를 토대로 대이란 전략의 틀 가운데 하나로 핵합의 무력화를 거론해왔다.
다음은 이란 핵 문제부터 미국의 이란 핵합의 탈퇴 발표까지의 주요 일지.
▲2018.5.9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이란 핵합의 탈퇴" 공식 선언
▲2018.1.12 = 트럼프 대통령, 대이란 제재유예 연장
▲2017.10.13 = 트럼프 대통령, 이란의 핵합의 준수에 대한 재인증 거부하겠다는 포괄적 대이란 전략 발표
▲2017.9.20 = 트럼프 대통령, 첫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이란 핵합의 파기할 수 있다" 경고
▲2017.9.14 = 미 정부, 대이란 제재면제 연장
▲2017.7.17 = 미 국무부, 이란의 핵합의 준수 사실 확인
▲ 2017.4.19 =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 "이란 핵합의 실패" 선언하고 유지 여부 추후 결정하겠다고 발표
▲2017.2.3 = 이란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와 관련,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첫 이란 제재
▲2017.1.20 = 트럼프, 미국 45대 대통령 취임
▲2015.9.16 = 미 공화당 대선주자 트럼프 후보, 이란 핵합의에 대해 "내가 지금까지 봤던 최악의 계약 가운데 하나"라고 혹평하며 탈퇴 가능성 시사
▲2016.1.16 = 대이란 경제·금융 제재 해제 '이행일'(Implementation Day) 선언
▲2016.1.14 = 이란, 아라크 중수로 원자로 용기 제거 확인
▲2015.12.29 = 이란, 저농축 우라늄 러시아로 반출 확인
▲2015. 12.15 = IAEA, 이란의 핵무기 개발 중단 공식 확인 보고서 발표
▲2015.11.2 = 이란, 원심분리기 감축 시작 발표
▲2015. 10.18 = 이란 제재 해제를 위한 '채택일'(Adoption Day) 도래
▲2015. 7.20 = 유엔 안보리, 핵합의안(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추인 결의
▲2015.7.14 = 핵협상 타결
▲2015.7.7 = 타결 시한 7월10일로 재연기
▲2015. 6.30 = 이란·EU·주요6개국 시한 7월7일로 연기
▲2015.6.22 = 이란 의회, 핵협상안 승인권 포기 대신 군사시설 사찰불가 등을 명시한 '핵주권·성과 보호에 관한 법률' 가결
▲2015.5.7 = 미 상원, 핵협상안 검토·거부할 수 있는 '의회승인법' 가결
▲2015.4.1∼2 = 밤샘 협상 끝 합의안 도출·타결 공식 발표
▲2015.3.31 = 핵협상 정치적 합의 시한 하루 넘겨
▲2015.3.30 = 이란-주요6개국 핵협상(스위스 로잔)
▲2015.3.9 = 미 공화당 의원 47명, 이란 최고지도자에 "핵협상 차기 정권서 폐기" 공개 경고서한
▲2015.1.27 = 미 의회, 3월24일 이후로 새 이란제재법 처리 연기
▲2014.11.24 = 협상 타결시한 2015년 7월1일로 연기·정치적 타결시한은 2015년 3월31일로 합의
▲2014.11.11 = 이란·러시아 원자로 8기 건설 협정 서명
▲2014.8.27 = 이란 중수로 설계변경 착수, 연 플루토늄 생산량 8㎏→1㎏
▲2014.7.21 = 국제원자력기구(IAEA), 20% 농축 우라늄 절반 희석 이행 확인
▲2014.7.19 = 협상 시한 11월24일까지로 4개월 연장. 미국, 이란 동결자금 28억 달러 해제 발표
▲2014.1.20 = 공동행동계획 이행 시작
▲2013.11.20∼24 = 제네바 3차 P5+1 협상…합의안 도출
▲2013.11.7∼9 = 제네바에서 2차 P5+1 협상
▲2013.10.15∼16 = 로하니 정부 출범 뒤 제네바서 첫 이란·P5+1 협상
▲2013.8.4 = 로하니 행정부 정식 출범. 보수 강경파에서 중도파로 정권교체
▲2013.4 ~ 2012.4 = 알마티·모스크바·바그다드·이스탄불서 협상
▲2011.11.8 = IAEA, 이란 핵무기 개발 작업 의심 보고서 공개
▲2011.6.12 = 이란, 20% 농축 우라늄 50㎏ 이상 생산 발표
▲2010.6.9 = 유엔 안보리, 4차 제재 결의안 채택(1929호)
▲2009.11.29 = 이란, 우라늄 농축시설 10곳 추가 증설 계획 발표
▲2008.3.3 = 유엔 안보리, 3차 제재 결의안 채택. 이란 항공, 해상 화물에 대한 검색 허용
▲2007.10.25 = 미국, 이란 경제제재 30년간 최고 수위 제재 발표. 이란 최정예 혁명수비대 테러조직 지정
▲2007.3.24 = 유엔 안보리, 2차 제재 결의안 채택. 핵 활동 및 미사일 등과 관련된 품목의 수출 금지하고 관련 기관 35개와 개인 40명 자산동결 대상 지정
▲2006.12.23 = 유엔 안보리, 1차 제재 결의안 채택. 우라늄 농축활동 중단 등 IAEA 결의 이행 불응 시 금융자산 동결 등 경제제재 조치 경고
▲2006.8.31 = 이란, 유엔 안보리 우라늄 농축 중단 시한 무시
▲2006.4.9 = 이란, 시험용 저농축 우라늄 추출 성공 발표
▲2006.1 = 이란, IAEA 나탄즈 핵시설 봉인 해제
▲2005.8∼9 = 이란, 이스파한 시설서 '평화적 목적' 우라늄 농축 재개 발표. IAEA, 핵확산금지조약(NPT) 위반 지적
▲2005.6 = 반서방 강경 보수파 마무드 아흐마디네자드 대통령 당선
▲2004.11 = 이란, 유럽연합(EU)과 우라늄 농축 유예 합의
▲2003.11 = 이란, 우라늄농축 프로그램 유예 발표, IAEA 핵시설 사찰 허용. IAEA 핵무기 개발 증거 없다고 결론
▲2003.6 = IAEA, 이란의 핵 활동 보고 의무 불이행 지적
▲2002.8.15 = 이란 반정부 단체 '국민저항위원회(NCRI)', 이란 중부 나탄즈에 비밀 우라늄 농축시설 존재 최초 폭로
▲1968.7.1 = 미국이 1967년 제공한 실험용 원자로를 근거로 핵확산금지조약(NPT) 51번째로 가입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