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리스마스 시즌을 맞아 이웃과 기쁨을 함께 나누려고 정원과 집을 아름답게 장식하는 가정들이 늘고 있다.
크리스마스 시즌을 맞아 형형색색 집을 아름답게 단장해 보는 이들의 마음을 포근하게 해주는 집들이 늘고 있다. 전기료도 만만치 않게 들어가고 설치하는데 시간이 많이 들어가는 것에도 불구하고 연말을 훈훈하게 보내기 위해 장식을 한다는 주민들. 뉴스데이지가 소개한 온가족이 하나가 되어 구석까지 섬세하게 크리스마스 시즌을 장식해 이웃들에게 연말의 평화를 나눠주는 가정들을 안내한다.
■231 Clay Pitts Rd. East Northport
스티브 브로저씨가 가장으로 추수감사절 주말부터 시작해 2주간의 공을 들어 장식을 마쳤다. 1080피트의 라이팅 전기 줄과 32개의 익스텐션 코드가 들어갔다. 40개의 공기로 세우는 장식물과 47개의 인형장식품이 동원됐다. 점등은 오는 1월10일까지 매일 오후 5시부터 11시30분 사이된다. 브로저씨는 보는 사람들이 미소를 짓는 모습과 장식을 보기 위해 자동차를 세우고 걸어서 사진을 찍는 등 행복해하는 모습이 장식을 계속하게 하는 모토가 된다고 밝혔다.
■235 Clay Pitts Rd. East Northport
집 주인 린다 보이스씨는 크리스마스 장식을 보려고 자동차를 멈추고 자신의 정원을 둘러보는 사람들의 모습을 목격하고부터 적극적으로 연말이면 크리스마스 장식에 매진하게 됐다며 크리스마스이브에 우리 집을 찾아와 사진을 찍는 등 행복해 하는 모습에 마음이 훈훈해 진다고 전했다. 더글라스 보이스씨는 큰 장식물을 설치하는데 4일 정도 걸리고 1주일의 시간이 들어가지만 얻는 기쁨이 크다고 밝혔다. 크리스마스 다음날까지 오후 4시30분부터 밤 10시30분까지 점등한다.
■86 Linden Ave. Bethpage
그리래씨 집으로 4일 동안 300개의 라이트 세트, 43개의 익스텐션 코드를 통원해 사슴 가족, 병장 세트, 펭귄 세트, 캔디 지팡이 나무들이 설치됐다. 일명 캔디랜드로 불리는 장식으로 5세 된 손녀가 가장 좋아하는 캔디 랜드 게임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지난해부터 손녀를 위해 연말이면 캔디랜드로 변모하고 있다고. 이곳은 1월8월 오후 5시부터 새벽 1시까지 조명을 켜놓는다.
■16 Mansfield Lane South East Northport
"할러데이는 혼자 즐기는 것이 아닙니다. 가족과 어린이와 이웃과 지역이 함께 나누는 것입니다" 이 집 주인 제임스 토메오씨는 60시간 이상이 들어가는 노동과 노력이 필요하지만 자신 혼자만 보는 것이 아니고 함께 나누는 것이기에 기쁨으로 장식한다고 전한다. 200개의 익스텐션 코드와 300피스 이상의 장식물을 동원해 화려하게 집을 장식했다. 19일 오후 5시부터 8시는 산타와 루돌프가 함께 하는 동네 파티를 연다. 토메오씨는 1월초까지 주중은 오주 5시에서 10시까지, 크리스마스 주는 오후 4시30분부터 밤 11시까지 점등한다.
■7 Coachman Lane Levittown
레이 엔젤씨 가족 6명이 하루 10시간씩 사흘간 장식품 설치에 매달렸다고 한다. 1만개의 라이트와 75개의 익스텐션 코드 2개의 캔디케인 트리, 마구간과 동방박사들, 목자와 양 등 크리스마스 이야기 및 디즈니 주제로 장식됐다. 올해는 펭귄 세트를 새롭게 등장시켰다고 전하는 엔젤씨는 "세인트 유드 어린이 연구 병원을 돕는 기금 모금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며 "크리스마스이브에는 레빗타운 소방관 트럭과 산타, 스타박스 후원으로 커피와 핫 초콜릿이 선사된다"고 전했다. 점등은 1월6일까지 매일 오후 5시부터 자정까지다.
■11 Bernard Lane Commack
그레이스 가족은 올해 연말을 크리스마스 동물원으로 주제를 정하고 3명이 12시간을 장식품 설치에 시간을 보냈다. 딸이 좋아하는 하마들을 비롯해 곰과 고양이, 강아지, 앵무새, 큰 부리새, 선인장 등 독특한 장식품으로 꾸며졌다. 3,000개의 전등과 35개의 패스웨이 라이츠, 38개의 익스텐션 코드가 동원됐다. "감사의 기쁨의 시즌을 이웃과 함께 하기 위해 크리스마스 장식을 한다"는 그레이스 가족의 장식품은 1월6일까지 오후 4기45분부터 반 11시30분까지 점등된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