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리·사령관 주택 ‘타겟’ 무력화 노려
성과 못거두자 회합장소 대학도 공격
29일로 사흘째 접어든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공습작전이 하마스를 이끄는 요인과 야전 지휘관들을 직접 조준하는 방식으로 세밀화하고 있다.
이스라엘군은 이날 오후 팔레스타인 예발리야 난민촌 등에 있는 주택 여러 채에 잇달아 폭탄을 투하했다고 일간 하레츠 등 현지 언론이 전했다.
이들 주택은 하마스의 무장조직인 이제딘 알-카삼 여단 사령관 마헤르 자쿠트 등 야전 지휘관들이 거주하는 집이었다.
이스라엘군의 표적 공습에 이들 지휘관의 가족 등 7명이 숨졌으나 자쿠트 등 지휘관들은 이미 다른 곳으로 은신한 뒤여서 폭사 위기를 모면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하마스와 연대하고 있는 다른 무장조직인 이슬라믹 지하드의 한 지휘관은 이날 집 근처를 걸어가다가 이스라엘군의 폭탄에 맞아 사망했다.
이스라엘군은 이날 새벽에는 하마스 정부 총리인 이스마일 하니야의 집과 하마스 정부의 초대소를 공격했으나 소기의 성과를 거두는 데에는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다.
샤티 난민촌의 누추한 집에 기거해온 하니야 총리는 이스라엘의 공습 조짐이 나타나기 시작한 지난주 초에 다른 지도자들과 함께 안가로 숙소를 옮겼다는 설이 유력하다.
주요 보안시설물과 로켓진지, 무기 제조공장 등 하마스의 전투력과 직결되는 목표물들을 공격해온 이스라엘이 이들 요인과 지휘관을 겨냥한 쪽으로 공습 표적을 전환한 것은 지상전을 앞두고 하마스 지도부의 구심점을 파괴하기 위한 전략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스라엘이 하마스 요인들의 집을 핀셋으로 집는 것처럼 공격할 수 있었던 것은 오랜 기간에 걸쳐 수집해온 관련 정보와 세계 최고 수준의 무인정찰기를 활용한 덕분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이스라엘군은 이날 무장대원들이 중거리 그라드 로켓탄을 트럭에 싣고 운반하는 장면과 이 트럭에 이스라엘의 미사일이 명중하는 장면을 담은 영상을 공개했다. 이 영상은 소형 무인정찰기에 탑재된 카메라로 촬영한 것이었다.
이스라엘군이 이날 공습한 목표물 중에는 이슬람 대학 건물이 들어 있다. 하니야 총리 등 수많은 하마스 간부들을 배출한 이 대학은 하마스 지도자들의 회합 장소로 사용됐고, 실험실에서는 로켓탄과 폭발물의 개발이 이뤄져 왔다는 게 이스라엘군의 설명이다.
29일 하마스가 통치하는 가자지구의 이슬람 대학이 이스라엘 군 미사일 공격을 받아 폭발한 후 검은 연기를 뿜어내고 있다.
중무장한 이스라엘군에 맞서
하마스, 전면전 얼마나 버틸까
■양측 군사력 비교
이스라엘이 29일 하마스를 상대로 전면전을 선언함에 따라 양측은 조만간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를 무대로 격전을 치를 가능성이 짙어졌다.
이스라엘은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군사강국이지만, 가자지구를 요새화한 하마스의 저항력도 만만치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스라엘은 1948년 건국 이후 아랍권을 상대로 한 4차례 중동전을 비롯해 크고 작은 전쟁에서 한 번도 완패를 경험한 적이 없을 정도의 막강한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육군 12만5,000과 해군 8,000명, 공군 3만5,000명가량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력 전차인 ‘메르카바 4’ 400대를 비롯해 모두 2,400대의 탱크와 자주포 1,060문, 전투기 520대, 장갑차 7,000대 등으로 중무장하고 있다.
하마스의 군사력은 그간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데다가 이미 이스라엘 공군의 폭격으로 상당 부분이 피해를 당한 상태로 추정되고 있어 정확한 평가가 어려운 실정이다.
하지만, 이스라엘이 공습에 나서기 전까지 하마스 등 가자지구의 무장 세력은 2만명가량의 전투원을 보유하고 있었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이와 관련, 일간 예루살렘 포스트는 최근 하마스가 가자지구에 1만5,000명의 무장대원을 거느리고 있으며, 이슬라믹 지하드와 팔레스타인 인민해방전선(PFLP), 인민저항위원회(PRC) 등 하마스와 연대한 나머지 군소 정파들이 5,000명가량의 조직원들 두고 있다고 보도했다.
로이터 통신은 하마스가 수천 개의 단거리 로켓뿐만 아니라 사거리 40㎞의 중거리 미사일도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29일 이스라엘 병사들이 이스라엘 남부 가자지구 국경 지대에서 탱크를 손질하며 명령을 기다리고 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