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저지가 한인들이 밀집해 있는 6개 주(뉴저지, 워싱턴, 버지니아, 캘리포니아, 뉴욕, 텍사스) 중 경제적으로 가장 안정적이고, 최고의 기혼률을 기록하는 주로 드러났다.
연방 센서스국이 27일 발표한 2006년 전국 인구현황 표본 조사 자료에 따르면 미국에서 세 번째로 큰 한인 거주지인 뉴저지의 한인수는 총 8만9,663명이다. 이 중 기혼자 비율은 63.2%이며, 그 뒤를 텍사스(57.9%), 버지니아(57.2), 캘리포니아(55.6%), 워싱턴(52.3%), 뉴욕(52.1%)이 이었다.
반면, 독신자 비율은 전체인구의 26.6%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미국 내 거주하는 한인의 34.8%가 독신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히 낮은 수치이다. 독신자 비율이 가장 높은 주는 뉴욕으로 39.6%, 워싱턴 35.7%, 캘리포니아 32.9% 텍사스29.9%, 버지니아 29.8% 순으로 뉴저지는 이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뉴저지는 혼혈한인의 비율 또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는데, 전체한인 중 혼혈한인이 차지하는 비율인 12%(18만5,628명)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3.78%(3,307명)만이 타인종과의 혼혈인 한인으로 밝혀졌다. 최고의 기혼률에도 불구하고, 거주 한인 중 최저의 혼혈한인 비율을 차지함으로써 뉴저지 지역 한인들이 타주 한인들에 비해 타인종간의 결혼에 소극적임을 추론케 한다. 이는 뉴저지지역이 타인종과의 결합에 대해 배타적인 경향을 지니고 있음을 엿보게 한다.
이번에 발표된 자료에서 혼혈한인의 비율이 나타난 주는 세 개주인데, 이 중 캘리포니아의 경우 전체 인구의 7.93%인 3만 7,128명이, 뉴욕은 4.23%인 6,152명이 혼혈 한인들이다. 반면 16세 이하의 뉴저지 거주 혼혈한인의 비율은 전체 한인의 66.3%(2,256명)로 캘리포니아의 50.09%(1만 8,598), 뉴욕의 61.06% (3,757명)를 크게 앞질러 나이가 어릴수록 혼혈한인의 비율이 급격히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뉴저지 한인들의 소득수준은 조사대상이 된 6개 주 중 가장 높아 개인당 소득이 3만2,671달러로 전체 한인의 평균 개인당 소득인 2만4,139달러를 크게 웃돈 것은 물론 두 번째로 소득이 높은 캘리포니아(2만6,900달러)와도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버지니아가 2만6,202달러 뉴욕이 2만5,393달러, 워싱턴이 2만 3,636달러, 텍사스가 2만1,506 달러로 그 뒤를 이었다. 가구 중간소득 역시 6만 3,797달러로 최고이다.
버지니아는 6만 1,352달러, 캘리포니아 5만 4,833달러, 워싱턴 4만 8,854달러, 뉴욕은 4만 8,198달러, 텍사스는 4만3,112달러이다. 그러나, 뉴저지 거주 한인의 43.9%만이 대졸이상의 학력자로 6개 주중 최하를, 전문직 종사자는 44.1%로 6개 주중 중간을 기록했다. 따라서, 한인들의 학력과 소득수준과는 별 연관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참고로, 뉴저지 총 거주민은 872만 4천560명, 기혼률은 48.3%, 1인당 소득은 3만1,877달러이다. 이중 아시안 인구는 68만 5,013명이며, 65.4%가 대졸이상의 학력을, 기혼률은 68.0%, 1인당 소득은 3만 5,038달러로 드러났다.
■ 2006 뉴저지 한인인구 현황
구분 뉴저지 한인
혼혈제외 혼혈포함
총인구수 8,724,560 86,356 89,663
■ 성별 및 연령
남성 48.8% 49.2% 48.8%
여성 51.2% 50.8% 51.2%
5세 이하 6.4% 6.0% 6.8%
5-17세 17.5% 18.3% 19.4%
18-24세 8.8% 8.0% 7.8%
25-34세 12.4% 15.3% 15.1%
35-44세 16.0% 18.8% 18.3%
45-54세 15.2% 17.5% 16.9%
55세-64세 10.8% 8.9% 8.6%
65세-74세 6.4% 4.9% 4.8%
75세이상 6.5% 2.3% 2.3%
중간연령 38.2세 36.3세 35.5세
미성년자(18세미만)2,089,653 20,987 23,447
남 51.0% 55.2% 53.4%
여 49.0% 44.8% 46.6%
성년(18세이상) 6,634,907 65,369 66,216
남 48.1% 47.3% 47.1%
여 51.9% 52.7% 52.9%
노년(65세이상) 1,125,605 6,259 6,369
남 41.0% 41.2% 42.3%
여 59.0% 58.8% 57.7%
■가족관계
15세 이상 인구수 7,006,178 69,565% 70,616%
기혼 50.9% 63.7% 63.2%
사별 6.9% 3.9% 3.8%
이혼 8.2% 4.8% 4.9%
별거 2.3% 1.4% 1.4%
독신 31.7% 26.2% 26.6%
15세이상남성수 3,383,711 33,093 33,399
기혼 53.6% 64.8% 64.5%
사별 2.8% 0.6% 0.6%
이혼 6.6% 2.7% 3.0%
별거 1.8% 0.9% 0.9%
독신 35.1% 31.0% 31.0%
15세이상 여성수 3,622,467 36,472 37,217
기혼 48.3% 62.8% 62.0%
사별 10.7% 6.9% 6.7%
이혼 9.8% 6.7% 6.6%
별거 2.7% 1.7% 1.9%
독신 28.5% 21.9% 22.7%
■취학현황
3세이상 취학인구수 2,276,881 26,380 28,162
프리스쿨 7.9% 8.5% 8.9%
유치원 4.9% 4.5% 4.4%
초중학교(1-8학년)40.6% 35.4% 37.5%
고등학교(9-12학년)22.2% 19.9% 19.4%
대학교 이상 24.4% 31.7% 29.9%
■학력
25세이상 인구수 5,871,240 58,488 59,235
고졸 미만 13.9% 6.2% 6.1%
고졸 30.4% 16.7% 16.6%
2년제 대학 22.2% 13.3% 13.5%
4년제 대졸(학사학위)21.0% 43.9% 43.9%
대학원 전문학위 12.4% 19.9% 19.8%
■고졸이상 86.1% 93.8% 93.9%
남성고졸이상 85.6% 96.5% 96.6%
여성고졸이상 86.5% 91.5% 91.6%
4년제대졸이상 33.4% 63.9% 63.7%
남성대졸이상 35.0% 69.9% 69.8%
여성대졸이상 32.0% 58.5% 58.5%
■장애여부
5세이상 민간인인구수 8,045,505 80,370 82,804
장애비율 12.3% 4.4% 4.4%
■출생지 시민권여부
미국태생 6,970,307 20,783 23,175
남 48.6% 59.1% 57.5%
여 51.4% 40.9% 42.5%
외국태생 1,754,253 65,573 66,488
남 49.7% 46.0% 45,7%
여 50.3% 54.0% 54.3%
시민권취득 847,665 33,572 34,101
남 47.5% 45.8% 45.6%
여 52.5% 54.2% 54.4%
비시민권자 906,588 32,001 32,387
남 51.8% 46.2% 45.8%
여 48.2% 53.8% 54.2%
■미입국 시점
2000년이후 24.5% 26.5% 26.6%
1990-1999년 30.7% 25.1% 25.1%
1990년 이전 44.7% 48.5% 48.3%
■영어구사 여부 가정내 사용언어
5세이상 인구수 8,164,688 81,142 83,576
영어만 사용 72.4% 12.2% 13.2%
타국어 사용 27.6% 87.8% 86.8%
영어미숙 11.8% 44.4% 43.8%
■취업 현황
16세이상 인구수 6,880,451 68,406 69,457
취업 61.9% 57.3% 57.0%
실업 4.1% 3.2% 3.1%
군복무 0.1% 0.0% 0.0%
16세이상 여성 3,561,665 35,879 36,624
취업 56.2% 47.8% 47.8%
실업 3.8% 2.1% 2.0%
■직업 현황
16세 이상 취업 인구4,261,555 39,204 39,594
경영, 전문직관련 38.0% 44.2% 44.1%
서비스직 15.5% 11.5% 11.9%
세일즈 사무직 27.8% 30.9% 30.8%
농업, 어업, 임업 0.2% 0.0% 0.0%
건설, 수리 8.0% 2.6% 2.5%
제조, 수송 10.5% 10.7% 10.6%
■취업구분
민간기업, 업체 80.4% 83.5% 83.6%
공무원 14.2% 4.8% 4.9%
자영업(법인 제외)5.2% 10.0% 9.9%
가사(무급) 0.2% 1.6% 1.6%
■2006년 소득
가구수 3,135,490 28,785 29,204
가구중간소득 64,470달러 64,429달러 63,797달러
가족수 2,180,404 22,420 22,657
가족중간소득 77,875달러 73,523달러 72,853달러
부부구성가족 74.8% 88.5% 88.6%
부부구성가족중간소득 91,669달러 81,019달러 80,558달러
1인당 소득 31,877달러 33,706달러 32,671달러
풀타임 취업인구수
남 1,713,289 17,459 17,500
여 1,175,322 9,425 9,469
풀타임 남성평균소득 73,170달러 77,077 달러 77,027달러
풀타임 여성평균소득50,031달러 66,681달러 66,441달러
풀타임남성중간소득52,487달러 51,239달러 51,267달러
풀타임 여성 중간소득41,100달러 41,788달러 41,669달러
■빈곤율
가족 6.4% 11.8% 11.6%
개인 8.7% 11.9% 11.7%
푸드스탬프수혜 4.0% 2.3% 2.2%
주택소유율
주택소유거주 67.3% 53.0% 52.5%
렌트거주 32.7% 47.0% 47.5%
소유주택중간가 366,600달러 561,300달러 561,700달러
A6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