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가장 재발 위험이 많은 계절은 겨울철이다. 연말연시가 겹쳐서 여러 만남과 축제행사들이 있는 계절로 중독자들은 평소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겪게 되어 재발위험이 평소보다 20% 정도 높다.
CDC 자료에 의하면 미국인 41%가 팬데믹으로 인한 트라우마, 불안, 우울증 등과 같은 정신건강 문제들로 고통을 겪고 있으며, 실제로 이 기간에 미국인 13%가 중독물질이나 중독적인 행위를 처음 시작했거나 기존 중독자들은 술이나 마약을 더 남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독문제 가정에서는 금년 연말과 2021년 초에 다른 어느 때보다 재발방지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여야한다.
계절적 우울증은 겨울철 햇빛감소로 체내순환리듬을 방해받아서 수면시간에 이상을 초래해 체내의 호르몬, 감정무드, 식욕 등에 영향을 미쳐 수면을 관장하는 멜라토닌 과다생성으로 더 졸음이 오고 무기력해지기 쉽다. 학술적으로는 트립토판이 세로토닌이 되고, 세로토닌에서 멜라토닌이 되는데,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트립토판이 세로토닌으로 되지 않고 적정수준의 멜라토닌 유지가 어려워져서 숙면을 취하지 못하게 된다고 한다.
중독문제가 있는 사람들은 계절적 우울증으로 생기는 스트레스들을 자신이 하던 알코올, 마약, 도박, 게임 등으로 ‘자가 처방’을 해서 재발되기가 쉬운 것이며 이런 방법은 더 많은 스트레스만 초래할 뿐이다.
중독자들의 회복과정에서 어려운 것 중에 한 가지는 재발 요인들을 어떻게 대처하느냐이다. 일반 사람들은 계절적 순환을 잘 적응하는 편이지만 회복 중에 있는 중독자들은 중독 물질이나 행위의 갑작스런 중단으로 육체가 정상적인 방향으로 생체학적 균형이 재조정되고 있는 도중에 계절적 우울증으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는 재발에 취약해질 수 있어 지난날 도취감 기억들이 다시 생각날 수 있다.
계절적 우울증 치료는 다른 우울증 치료와 같이 정신 및 심리치료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개인적으로는 명상, 요가, 빛 치료(Light therapy), 비타민 D 보충 등이 있다. 근본적인 중독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정신건강, 신체건강, 영적건강을 포함한 총체적이고 전인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갑자기 중독 물질이나 행위에 대한 갈망감에 사로잡힐 때에는 바로 행동으로 옮기지 말고 30분간만 참으면서 정신을 딴 데로 돌리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들을 해본다. 30분 후에 기분이 얼마나 달라지는지를 점검하면 아주 놀랄 것이다. 아직도 충동심이 남아있으면 지금까지 30분 동안 잘 참았다는 사실을 상기하면서 30분만 더 참아보라. 재발 충동심은 사라지고, 이제 나도 재발하지 않을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겨날 것이다. 이는 본인은 물론 가족들과 친구들에게 가장 값진 새해선물이 될 것이 분명하다.
www.werecovery.com
<
이해왕 선교사 한인 중독증회복 선교센터>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2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궁금한것은 왜 개신교에서는 가정 상담 전문가들이 많은걸까요? 이렇게 개신교 쪽의 사설이 나오면 가끔은 불교, 힌두교, 또는 무슬교쪽에서 보는 사설도 나왔으면 도움이 되겠읍니다.
오늘도 눈을뜨고 숨을쉬고 자연의소리르르듣고 식구들이 떠드는소리 이웃이 웃는소리 만이라도 들을수있고 먹고 마실수있는게 있다는게 고마운 일이지요, 나의마음이 어디로 가느냐에따라 천리도 갈수있고 눈앞의일도 안보일수도 있는 그마음을 어떻게 먹느냐에따라 행도 불행도 즐거움도 슬픔도 나에마음에 달려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