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는 지금
▶ 지구온난화 여파 빙하 줄어들자 야생동물들 위기

북극곰의 서식지인 캐나다 처칠 허드슨만 바다에는 북극곰의 사냥에 필수적인 해빙이 사라지고 있다. [출처: WWF]
“겨울을 앞둔 10월말에도 캐나다의 허드슨만에서는 바다얼음(해빙)이 아예 보이지 않습니다. 해안가에 모인 북극곰들은 굶주려 있었죠. 북극곰들은 해빙이 없으면 사냥을 하지 못해 이 시기에 매일 1㎏씩 체중이 줄어 듭니다.”북극권 캐나다의 허드슨만에 위치한 처칠 마을은 북극곰의 수도로 유명하다. 800여명의 주민보다 많은 1,000여 마리의 북극곰이 살고 있기 때문이다. 이곳에서 북극곰 보전을 위해 일하는 세계자연기금(WWF)의 피터 에윈스 종 보전 이사를 이메일로 인터뷰했다.
그는 26년간 캐나다의 야생동물 보전을 위해 일해 왔다.
에윈스 이사가 북극곰을 위해 노력하는 이유는 북극곰이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분류한 멸종취약종이지만 실제로는 한 단계 높은 멸종위기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미국 어류·야생동식물 보호국은 2050년이 되면 북극곰이 30% 이상 감소해 현재 2만6,000마리에서 1만5,000마리로 줄어들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즉 기후변화에 사람들이 관심을 갖지 않으면 장래에 북극곰을 볼 수 없다는 뜻이다.
에윈스 이사는 북극곰이 멸종위기에 놓인 이유를 빠르게 사라지는 해빙 때문으로 보고 있다. 매년 해빙이 무서운 속도로 사라지면서 북극곰들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그는 “허드슨만이나 버포트해 인근 북극곰의 개체 수가 급감할 것이라는 게 과학적으로 증명된 연구결과”라며 “이 같은 북극의 실상을 제대로 모르는 사람들은 아직도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모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멸종위기 동물들을 구하려면 환경문제를 자신의 문제로 생각해야 한다”며 “사실 지구상에 살아가는 우리 모두가 야생동물”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에윈스 이사는 처칠 지역의 원주민 이누이트족과 북극곰의 공생을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지역 사회와 함께 디젤 연료 수입을 줄이고 재생 에너지 공급에 주력하는 내용이다.
또 바다 얼음이 없다 보니 먹을 것을 찾아 마을로 내려오면서 주민들과 마찰을 빚고 있는 북극곰 문제 해결에도 나섰다. 주로 주민들에게 치명적이지 않은 방법을 이용해 북극곰을 물러가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전달하고 있다. 에윈스 이사는 “이누이트족이 거주하는 해안가 대부분이 북극곰들의 생활권과 겹친다”며 “사람들이 생활하면서 배출하는 음식과 쓰레기들은 배고픈 북극곰들을 끌어들인다”고 설명했다.
특히 처칠에서 중요한 이동수단인 썰매를 끄는 개들도 잘 관리해야 한다. 북극곰은 개들에게 위험한 존재다. 그는 “사슬에 묶여 있는 개들은 북극곰이 노리기 좋은 놀잇감과 먹이”라며 “개들이 북극곰과 접촉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북극 생태계 보전을 위해 처칠 마을에서 실시하는 북극곰 관광이나 이누이트족 마을을 둘러보는 미국의 거대 유람선 관광을 막아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이에 대해 에윈스 이사는 “처칠을 찾는 관광객들이 둘러보는 지역은 매우 제한적”이라며 “정부에서 통제를 잘 하면 문제 없다”고 말했다. 오히려 관광객들이 북극의 실상을 바로 알고 환경 보호의 필요성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면 지지하겠다는 입장이다.
더불어 에윈스 이사는 “북극권뿐 아니라 전세계 사람들이 환경 보호를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그는 “각자 소비를 줄여 쓰레기와 온실가스 배출을 억제해야 한다”며 “화석 연료가 북극곰 생존을 위협하는 첫 번째 위험요소인 만큼 재생 에너지를 활용하면서 에너지 절감·재사용·재활용(RRR·Reduce-Reuse-Recycle)을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바다표범 대신 흰기러기로
먹잇감도 바꾸는 북극곰의 생존전략
기후 변화가 북극곰의 식단까지 바꾸고 있다. 동물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지구온난화로 북극곰의 주 먹이가 바다표범에서 흰 기러기로 바뀌고 있다는 것이다.
‘북극곰의 수도’라고 불리는 캐나다 북동부 허드슨만의 환경을 수십 년간 관찰해 온 로버트 록웰 박사는 북극곰들이 흰 기러기와 흰 기러기 알들을 먹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록웰 박사는 북극곰 한 마리가 4일 동안 1,200개의 기러기 알을 먹는 것을 본 적도 있다고 밝혔다.
북극곰은 여름이 되면 얼음이 녹는 해안을 떠나 육지로 이동한다. 육지로 올라간 북극곰들은 이른바 ‘걷는 휴면’이라고 불리는 에너지 절약형 생활을 한다. 지구온난화로 얼음이 빨리 녹으면서 북극곰의 해안 활동도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북극곰이 일년 동안 육지에서 활동하는 기간이 30년 전보다 평균 30일 길어지면서 주 먹이인 바다표범을 해안에서 사냥할 기회도 적어졌다. 예전보다 이른 시기 육지 생활을 시작하면서 흰 기러기가 새로운 먹이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흰 기러기의 번식 시기가 북극곰의 달라진 육지 이동 시기와 겹치는 점도 흰 기러기가 대체 먹이가 된 주요 이유다
못먹어 영양실조
개처럼 앙상해져
북극곰이라고 하면 흰색 털이 수북한 큰 덩치의 동물을 떠올릴 것이다. 아니면 광고 속에서 보던 유쾌한 북극곰의 모습일 수도 있다. 하지만 실제 북극에 사는 북극곰의 현실은 참담하다
온라인 정보 공유 사이트 바이럴 팬시는 오랫동안 음식을 먹지 못해 앙상하게 마른 북극곰이 심지어 개처럼 보일 정도라고 전했다.
과학자들은 스발바르 제도의 북극곰 개체 수가 적정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발표했지만, 실상은 충격적일 정도로 처참했다. 스발바르에서는 암컷과 새끼 북극곰의 수가 매우 적고, 이들 중 일부는 심각한 영양실조를 겪고 있다.
<
고은경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